나도히초미(1) | 개관중, 섬봉의꼬리
Na-do-hi-cho-mi
Polystichum polyblepharum (Roem. ex Kunze)
○ 국명정보
섬봉의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나도히초미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히초미", 나도히초미라는 이름은 히초미(관중의 다른 이름)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표본이 제주도에서 채집되었고 봉의꼬리를 닮았다는 의미에서 섬봉의꼬리를 신칭해서 기록했으나 이후에 남부지방에서 분포가 확인되는 등의 이유로 조선식물명집에서 나도히초미로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나도히초미속(Polystichum)
더부살이고사리 / 낚시고사리 / 십자고사리 / 검정개관중 / 큰개관중 / 좀나도히초미 / 나도히초미 / 긴개관중 / 섬나도히초미 / 나도개관중 / 비늘개관중 / 지리개관중 /
참나도히초미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경북(울릉도), 전남, 제주 등 산지의 숲 속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근경 짧고 비스듬히 서며 덩어리진다.
엽병 길이 20cm 정도로 하부의 인편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띠고 약간 단단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인편 위로 올라갈수로록 털 이 가늘어진다.
엽신 길이 70cm 내외로 2회우상복엽이며 피침형이다.
잎 엽질은 단단한 초질로 표면에 광택이 있다. 소우편의 끝이 바늘처럼 된다.
포자낭군 소우편의 가장자리와 중륵의 중간에 붙는다.
○ 동정 포인트
긴개관중과 섬나도히초미에 비해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가장자리에 붙는다.
▩ 나도히초미속 중축 하부 인편 비교(이만규샘 제작)
*출전 ; 고사리사랑 http://cafe.daum.net/fernlove
○ 참고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도해도감 2. 양치식물>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