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망개나무

by 풀꽃나무광 2014. 11. 26.

망개나무 | 살배나무, 메답싸리, 멥대싸리, 모이대싸

Mang-gae-na-mu

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Koidz.

 

○ 국명정보
망개나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 I, II>(1949)

 국명의 유래 
"망개 + 나무",   망개나무라는 이름은 정확한 어원과 의미는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청미래덩굴을 달리 망개나무라고도 하는데 그 명칭을 그대로 가져다 쓰고 있다. 청미래덩굴을 달리 '맹감나무<명감(命甘나무)'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목숨을 건지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나무라는 뜻이다. 

 

분류
   갈매나무과(Rhamnaceae) 망개나무속(Berchemia)

  망개나무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혼슈 이남에 드물게 자생), 한국  | 충북(월악산, 군자산, 속리산), 경북(군위, 주왕산, 보현산, 내연산) 등의 계곡가 및 산지 사면에 자란다.

 

형태
   수형
 낙엽 교목이며, 높이 12m, 지름 30(~100)cm 정도로 자란다.
   수피   그물맥 같은 회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져 골이 생긴다.
   겨울눈  돌출한 엽흔 속에 숨어 있다.
     어긋나며 길이 6-13cm의 난상 장타원형-장타원형이다.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양면에 모두 털이 없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6-7월에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원추)꽃차례에 황록색의 양성화가 모여 달린다. 꽃은 지름 3-4mm이며 꽃잎은 가장자리가 말려서 수술을 감싼다. 꽃잎, 꽃받침열편, 수술은 각각 5개씩이다. 꽃받침열편은 삼각형이며 안쪽 면의 중앙에 돌기가 있다. 암술대는 길이 1-2mm이고 암술머리는 2-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핵과, 길이 7-8mm의 장타원형-난형이며 8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핵은 지름 5-7mm의 장난형이다.

 

동정 포인트
 
1. 창사조에 비해 줄기는 직립하는 교목이며 가지는 적갈색이 돌고 탁엽은 끝이 떨어져 있다.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망개나무는 충매화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망개나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이 클론(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군) 수준으로 매우 낮다고 알려져 있다. 보은 속리산, 괴산 사담리, 제천 송계리의 군락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여적

 

2019. 05. 20. 제주도 난온대림연구소
2011. 05. 28. 경북 포항 내연산
2012. 09. 09. 충북 군자산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유자나무(1)  (0) 2014.11.26
줄사철나무(1)  (0) 2014.11.26
까마귀베개  (0) 2014.11.25
왕머루(1)  (0) 2014.11.25
개사상자(1)  (0) 201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