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살구나무 | 개살구, 산살구나무(북한명)
Gae-sal-gu-na-mu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종소명 'Mandshurica'는 분포지인 만주 지역을 뜻한다.
○ 국명정보
개살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1. "개+ 살구나무", 개살구나무라는 이름은 살구나무와 닮았지만 ‘질이 떨어지는’, ‘흡사하지만 다른’의 뜻을 더하는 접사 '개-'를 덧붙여 지어졌다. 참고 : 박상진 <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2. "살구 + 나무", 살구나무라는 이름은 옛이름 'ㅅ·ㄹ고>살고>살구'에서 유래했다. 살고의 의미에 대해서는 열매가 황색을 띠는 특성을 드러 노란색을 뜻하는 'ㅅ·ㄹ'[sora, 黃]과 명사화 접미사 '고'의 합성어로 해석하는 견해가 있으나 정확한 어원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살구의 약재로서의 효능 중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해독하는 작용이 있음을 근거로 한자어 살구(殺狗)에서 그 어원을 찾고 있으나 민간어원으로 판단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 벚나무 / 복사앵도나무 / 복숭아나무 / 산개벚지나무 / 산벚나무 / 산복사 / 산이스라지 / 석도벚나무 / 섬벚나무 / 시베리아살구나무 / 앵도나무 / 왕벚나무 / 자도나무 / 가는잎벚나무 / 개살구나무 / 살구나무 / 이스라지나무 / 녹털귀룽나무 / 만첩개벗 / 서울귀룽나무(서울귀룽, 서울귀롱목) / 털개살구 / 털이스라지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동부), 한국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비교적 드물게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소교목 또는 교목이며 높이 5-15m 정도로 자란다.
수피 짙은 회색이며 코르층이 발달한다.
겨울눈 적갈색의 난형이며 광택이 난다.
잎 어긋나며 길이 5-12cm의 광타원형-광난형이다. 끝은 급하게 뾰족해져서 꼬리처럼 되고 밑부분은 넓은 쐐기형이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겹톱니가 촘촘히 있다. 처음에는 잎 양면에 털이 있으나 차츰 없어져서 뒷면 맥 위와 겨드랑이에만 남는다. 기부에는 밀선이 있다.
꽃 4월에 잎이 나기 전에 지름 2-3cm의 연한 홍색 양성화가 줄기에 1-2개씩 모여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7-10mm로 짧다. 꽃잎은 5개이며 넓은 도란형 또는 아원형이다. 꽃받침열편은 길이 3-4mm의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자방과 암술대 중간에는 털이 밀생한다. 암술은 수술보다 약간 더 길다.
열매 핵과, 지름 2-3cm의 약간 납작한 구형이며 표면에 털이 밀생한다. 6-7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 동정 포인트
1. 살구나무와 유사하나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며 꽃과 열매의 자루가 살구나무보다 긴 특징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2. 같은 지역의 벚나무보다 1-2주 개화가 빠르다.
▩ 개살구 : 살구 대조
개살구 | 살구 |
○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 여적
-살구에 비해 약간 납작한 구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