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괭이눈
Keun-gwaeng-i-nun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fulvum (N. Terracc.) H. Hara
○ 다른 학명
Chrysosplenium vidalii Franch. & Sav. : (1877). Enum. Pl. Jap, ii. 360.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김영동) / 2009.11.22.)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 (1914).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273.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김영동) / 2009.11.22.)
Chrysosplenium villosum Franch. : (1935). Paris (J. Bot. Morot), iv. 305.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김영동) / 2009.11.22.)
Chrysosplenium sphaerospermum var. fulvum (N. Terracc.) Hara : (1935). Tokyo (J. Jap. Bot.), 11: 670.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김영동) / 2009.11.22.)
○ 다른 국명
흰털괭이눈(정태현), 흰괭이눈, 털괭이눈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가지괭이눈 / 누른괭이눈 / 산괭이눈 / 선괭이눈 / 애기괭이눈 / 제주괭이눈 / 흰괭이눈(흰털괭이눈) / 금괭이눈 / 시베리아괭이눈 / 큰괭이눈
○ 분포 | 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의 주로 식생이 양호한 산지의 계곡 주변에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꽃줄기의 기부에서 꽃이 달리지 않는 주출지(무성지) 1-2쌍이 양쪽으로 발달하며 잎은 마주난다. 꽃줄기는 5-15cm로 털이 많고, 잎이 1-4개 달리며 마주나고, 좁은 부채꼴로서 4-8개의 거치가 있다.
잎 무성지의 잎은 줄기의 정단부로 갈수록 커지고 기부쪽의 잎은 부채꼴이며 잎몸의 밑이 잎자루로 길게 흐르는 형태이다. 정단부의 잎은 반원형 혹은 원형에 가까우며, 잎몸의 밑은 편평하고 잎자루로 약간 흐른다. 잎의 거치는 4-14개로 줄기 정단부의 잎으로 갈수록 많아진다. 무성지에는 긴 흰털이 밀생하고 거친 털이 잎의 상부에 드문드문 나있다. 무성지는 전체적으로 지면 가까이 붙어 뻗으며 정단으로 갈수록 마디사이가 짧아진다. 수정된 후 무성지는 지면을 사방으로 뻗어 기어가며 뿌리를 내린다.
꽃 4-6월에 피는데 취산화서는 밀집돼 있으며 털이 거의 없고 대개 5-8개의 꽃이 달린다. 화서 주변의 포엽은 전체적으로 좁은 부채꼴이며 대개 비대칭적이다. 꽃은 지름 2.5-3.0mm로 노란색의 꽃받침 4개가 직립하여 사각형을 이루며 꽃잎은 없다. 수술은 8개로 꽃받침보다 짧으며 약은 노란색이다. 암술대는 2개로 수술대보다 짧고 녹색이다.
열매 삭과, 2개로 깊이 갈라지며 각각은 비대칭으로 자라고 뿔 모양이다. 종자는 구형에 가까우며 길이 0.6-0.8mm, 높이 15μm 정도의 혹 모양 돌기가 모여 14-18개의 능선을 이룬다.
○ 동정 포인트
이 변종은 금괭이눈(C. pilosum var. valdepilosum)에 비하여 전체에 털이 많고, 포엽의 거치가 둔하지 않으며, 종자의 혹 모양 돌기가 한 줄로 늘어서 능선을 이루고, 화기에 포엽이 밝은 노란색으로 변하지 않아 구분된다.
▩ 한반도 자생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검색표
1. 잎이 어긋남 11. 꽃 진 후 무성지 줄기 발달 않고, 로제트 형성----천마괭이눈(C.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11. 꽃 진 후 무성지 줄기가 발달함 12. 무성지 줄기 아치형으로 발달함(백두산 분포)--------천지괭이눈(C. macrospermum Y.I.Kim & Y.D.Kim) 12. 무성지 줄기 길게 발달, 말단에 로제트 형성 안함-----연노랑괭이눈(C. aurebracteatum Y.I.Kim & Y.D.Kim) ###참고 일반인을 위한 식물분류 공개강좌(2019.04.25 )에서 한림대 김용인 교수 강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함 |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8103&show_all_tab=Y&show_cls_nm_gbn=kr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본 변종의 이명에는 Nakai(1914)가 광릉에서 채집하여 신종으로 보고한 큰괭이눈(C. barbatum)이 포함된다. Hara(1957)는 일본 중부에 분포하는 C. fulvum과 C. barbatum을 통합시키면서 이를 C. pilosum의 변종 즉, var. fulvum으로 처리하였다.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