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호색5

현호색(5) 현호색(5) | 玄胡索, 延胡索, 너계구슬,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가는잎현호색, 빗살현호색, 둥근잎현호색 Hyeon-ho-saek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 국명정보 현호색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현호색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玄胡索에 어원을 둔 것으로, 은 당시 조선에서 부르던 향명이 현호색이라고 기록했다. 玄胡索의 玄은 덩이줄기의 겉이 검은색인 것에서, 胡는 주된 산지가 호국(중국 북쪽 오랑캐 지역), 索은 새싹이 묶인 듯이 꼬이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물명고에서는 한글 표현으로 너계구슬을 기록했는데 너계는 기생을 뜻하는 우리말이고 구슬은 덩이줄기의 둥근모양을 비유한 말이므로 아름다운 구슬이른 뜻이다. 참고 :.. 2021. 4. 16.
현호색(4) 현호색(4) | 玄胡索, 延胡索, 너계구슬,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가는잎현호색, 빗살현호색, 둥근잎현호색 Hyeon-ho-saek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 국명정보 현호색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현호색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玄胡索에 어원을 둔 것으로, 은 당시 조선에서 부르던 향명이 현호색이라고 기록했다. 玄胡索의 玄은 덩이줄기의 겉이 검은색인 것에서, 胡는 주된 산지가 호국(중국 북쪽 오랑캐 지역), 索은 새싹이 묶인 듯이 꼬이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물명고에서는 한글 표현으로 너계구슬을 기록했는데 너계는 기생을 뜻하는 우리말이고 구슬은 덩이줄기의 둥근모양을 비유한 말이므로 아름다운 구슬이른 뜻이다. 참고 :.. 2020. 5. 10.
현호색(1) 현호색(1) | 玄胡索, 延胡索, 너계구슬,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가는잎현호색, 빗살현호색, 둥근잎현호색 Hyeon-ho-saek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 국명정보 현호색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현호색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玄胡索에 어원을 둔 것으로, 은 당시 조선에서 부르던 향명이 현호색이라고 기록했다. 玄胡索의 玄은 덩이줄기의 겉이 검은색인 것에서, 胡는 주된 산지가 호국(중국 북쪽 오랑캐 지역), 索은 새싹이 묶인 듯이 꼬이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물명고에서는 한글 표현으로 너계구슬을 기록했는데 너계는 기생을 뜻하는 우리말이고 구슬은 덩이줄기의 둥근모양을 비유한 말이므로 아름다운 구슬이른 뜻이다. 참고 :.. 2015. 4. 8.
현호색 현호색 | 玄胡索, 延胡索, 너계구슬,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가는잎현호색, 빗살현호색, 둥근잎현호색 Hyeon-ho-saek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 국명정보 현호색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현호색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玄胡索에 어원을 둔 것으로, 은 당시 조선에서 부르던 향명이 현호색이라고 기록했다. 玄胡索의 玄은 덩이줄기의 겉이 검은색인 것에서, 胡는 주된 산지가 호국(중국 북쪽 오랑캐 지역), 索은 새싹이 묶인 듯이 꼬이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물명고에서는 한글 표현으로 너계구슬을 기록했는데 너계는 기생을 뜻하는 우리말이고 구슬은 덩이줄기의 둥근모양을 비유한 말이므로 아름다운 구슬이른 뜻이다. 참고 : 조민.. 2014.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