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련화2

한련화(20211006) 한련화(20211006) | 旱蓮花, 할련, 한련, 금련화 Han-ryeon-hwa Tropaeolum majus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할련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한련화라는 이름은 한자명 旱蓮花에서 유래한 것으로 물(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蓮을 닮은 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잎자루와 잎의 가운데 있는 모양이 연잎을 닮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한련과(Tropaeolaceae) 한련속(Tropaeolum) 한련 ○ 분포|자생지 남아프리카(볼리비아, 콜롬비아, 페루) 원산 | 전국 각처 식물원, 민가, 화단에서 관화용으로 식재한다. 간혹 식물원 주변의 빈터, 습지, 강가에 야생화되어 자란다. ○ 형태 덩.. 2021. 10. 21.
한련화 한련화 | 旱蓮花, 할련, 한련, 금련화 Han-ryeon-hwa Tropaeolum majus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할련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한련화라는 이름은 한자명 旱蓮花에서 유래한 것으로 물(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蓮을 닮은 꽃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잎자루와 잎의 가운데 있는 모양이 연잎을 닮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한련과(Tropaeolaceae) 한련속(Tropaeolum) 한련 ○ 분포|자생지 남아프리카(볼리비아, 콜롬비아, 페루) 원산 | 전국 각처 식물원, 민가, 화단에서 관화용으로 식재한다. 간혹 식물원 주변의 빈터, 습지, 강가에 야생화되어 자란다. ○ 형태 덩굴성 한해살이풀 줄.. 2015.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