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피나무4

초피나무(3) 초피나무(3) | 진피, 제피, 재피, 잰피(경상도) Cho-pi-na-mu Zanthoxylum piperitum (L.) DC. ○ 국명정보 초피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초피 + 나무", 초피나무라는 이름은 이 나무의 열매 껍질을 뜻하는 한자어 초피(椒皮)에서 유래했으며, 에 기록된 쵸피나모가 직접적 어원이다. 열매 껍질을 약용하고 검은색 씨앗으로 기름을 짜며, 잎과 열매 껍질은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산초와 비슷하나 주로 열매의 껍질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초피(椒皮)이며, 산초보다 향이 훨씬 강하다. 남부지방에서는 추어탕이나 생선탕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향신료로 쓴다. 제주도 등 남해안에는 잎.. 2020. 4. 30.
초피나무(2) 초피나무(2) | 진피, 제피, 재피, 잰피(경상도) Cho-pi-na-mu Zanthoxylum piperitum (L.) DC. ○ 국명정보 초피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초피 + 나무", 초피나무라는 이름은 이 나무의 열매 껍질을 뜻하는 한자어 초피(椒皮)에서 유래했으며, 에 기록된 쵸피나모가 직접적 어원이다. 열매 껍질을 약용하고 검은색 씨앗으로 기름을 짜며, 잎과 열매 껍질은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산초와 비슷하나 주로 열매의 껍질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초피(椒皮)이며, 산초보다 향이 훨씬 강하다. 남부지방에서는 추어탕이나 생선탕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향신료로 쓴다. 제주도 등 남해안에는 잎.. 2019. 6. 18.
초피나무(1) 초피나무(1) | 진피, 제피, 재피, 잰피(경상도) Cho-pi-na-mu Zanthoxylum piperitum (L.) DC. ○ 국명정보 초피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초피 + 나무", 초피나무라는 이름은 이 나무의 열매 껍질을 뜻하는 한자어 초피(椒皮)에서 유래했으며, 에 기록된 쵸피나모가 직접적 어원이다. 열매 껍질을 약용하고 검은색 씨앗으로 기름을 짜며, 잎과 열매 껍질은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산초와 비슷하나 주로 열매의 껍질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초피(椒皮)이며, 산초보다 향이 훨씬 강하다. 남부지방에서는 추어탕이나 생선탕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향신료로 쓴다. 제주도 등 남해안에는 잎.. 2016. 12. 1.
초피나무 초피나무 | 진피, 제피, 재피, 잰피(경상도) Cho-pi-na-mu Zanthoxylum piperitum (L.) DC. ○ 국명정보 초피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초피 + 나무", 초피나무라는 이름은 이 나무의 열매 껍질을 뜻하는 한자어 초피(椒皮)에서 유래했으며, 에 기록된 쵸피나모가 직접적 어원이다. 열매 껍질을 약용하고 검은색 씨앗으로 기름을 짜며, 잎과 열매 껍질은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산초와 비슷하나 주로 열매의 껍질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초피(椒皮)이며, 산초보다 향이 훨씬 강하다. 남부지방에서는 추어탕이나 생선탕의 비린내를 없애주는 향신료로 쓴다. 제주도 등 남해안에는 잎이 훨.. 201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