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래덩굴2 청미래덩굴(1) 청미래덩굴(1) | 망개나무, 맹감나무, 명감나무명, 감좀청미래, 매발톱, 가시섬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좀명감나무, 청열매덤불, 팔청미래 Cheong-mi-deong-gul Smilax china L. ○ 국명정보 청미래덩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청 + 미래 + 덩굴"의 합성어이다. 청미래덩굴이라는 이름은 15세기 문헌 이다. 꼬여 있는 뿌리를 약으로 이용하고 그 뿌리 또는 줄기에 푸른색이 도는 덩굴식물이라는 뜻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덩굴의 마디가 굽어서 이리저리 구불구불 뻗어가는 모습이 용을 닮았는데 용의 옛 우리말이 미르 혹은 미리이다. 거기에 어린 줄기가 푸르므로 청미르덩굴 혹은 청미리덩굴로 부르.. 2021. 4. 17. 청미래덩굴 청미래덩굴 | 망개나무, 맹감나무, 명감나무명, 감좀청미래, 매발톱, 가시섬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좀명감나무, 청열매덤불, 팔청미래 Cheong-mi-deong-gul Smilax china L. ○ 국명정보 청미래덩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청 + 미래 + 덩굴"의 합성어이다. 청미래덩굴이라는 이름은 15세기 문헌 이다. 꼬여 있는 뿌리를 약으로 이용하고 그 뿌리 또는 줄기에 푸른색이 도는 덩굴식물이라는 뜻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덩굴의 마디가 굽어서 이리저리 구불구불 뻗어가는 모습이 용을 닮았는데 용의 옛 우리말이 미르 혹은 미리이다. 거기에 어린 줄기가 푸르므로 청미르덩굴 혹은 청미리덩굴로 부르다가 .. 2014. 4.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