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식나무5

참식나무(4) 참식나무(4) | 식나무, 반두어리/식낭/심낭, 오과남, 토후박 Cham-sik-na-mu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 국명정보 참식나무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식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식나무", 참식나무라는 이름은 진짜(참) 식나무라는 뜻으로, 제주 방언 심낭 또는 식낭에서 유래했다. 식낭은 색깔이 섞여 얼룩덜룩한 무늬를 이루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제주 방언에 온몸에 칡덩굴 같은 어룽어룽한 무늬가 있는 칡소를 식쉐라 하고, 털빛이 흑색과 황색으로 얼룩덜룩한 돼지를 식돗이라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녹나무과(Laurace.. 2019. 10. 16.
참식나무(3) 참식나무(3) | 식나무, 반두어리/식낭/심낭, 오과남, 토후박 Cham-sik-na-mu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 국명정보 참식나무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식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식나무", 참식나무라는 이름은 진짜(참) 식나무라는 뜻으로, 제주 방언 심낭 또는 식낭에서 유래했다. 식낭은 색깔이 섞여 얼룩덜룩한 무늬를 이루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제주 방언에 온몸에 칡덩굴 같은 어룽어룽한 무늬가 있는 칡소를 식쉐라 하고, 털빛이 흑색과 황색으로 얼룩덜룩한 돼지를 식돗이라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녹나무과(Laurace.. 2018. 10. 6.
참식나무(2) 참식나무(2) | 식나무, 반두어리/식낭/심낭, 오과남, 토후박 Cham-sik-na-mu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 국명정보 참식나무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식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식나무", 참식나무라는 이름은 진짜(참) 식나무라는 뜻으로, 제주 방언 심낭 또는 식낭에서 유래했다. 식낭은 색깔이 섞여 얼룩덜룩한 무늬를 이루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제주 방언에 온몸에 칡덩굴 같은 어룽어룽한 무늬가 있는 칡소를 식쉐라 하고, 털빛이 흑색과 황색으로 얼룩덜룩한 돼지를 식돗이라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녹나무과(Laurace.. 2014. 7. 5.
참식나무(1) 참식나무(1) | 식나무, 반두어리/식낭/심낭, 오과남, 토후박 Cham-sik-na-mu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 국명정보 참식나무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식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참 + 식나무", 참식나무라는 이름은 진짜(참) 식나무라는 뜻으로, 제주 방언 심낭 또는 식낭에서 유래했다. 식낭은 색깔이 섞여 얼룩덜룩한 무늬를 이루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제주 방언에 온몸에 칡덩굴 같은 어룽어룽한 무늬가 있는 칡소를 식쉐라 하고, 털빛이 흑색과 황색으로 얼룩덜룩한 돼지를 식돗이라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녹나무과(Laurace.. 2014.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