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이 뭘까요?10 이름이 뭘까요? 이름이 뭘까요? | -beo-seot 학 ○ 분류 우리나라에는 지금까지 속에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포 | 여름~가을, ○ 개요 ○ 활용 식용버섯임. 독버섯임. 식*독 불명.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2017 푸른행복 ○ 여적 박지도 정상까지 올라가는 야자매트에 못자리를 한 것처럼 발생했다. 처음 보는 것이라 감이 안 잡힌다. 밴드에 올렸더니 어떤 분은 소똥환각버섯 같다고 한다. 검색을 해 보니 많이 비슷한데 갓 표면에 비늘 같은 것이 있느데 요건 없어서 다른 것도 같다. 2023. 7. 11. 이름이 뭘까요? 이름이 뭘까요? | -beo-seot 학 ○ 분류 우리나라에는 지금까지 속에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포 | 여름~가을, ○ 개요 ○ 활용 식용버섯임. 독버섯임. 식*독 불명.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2017 푸른행복 ○ 여적 해안 사구에도 버섯이 자란다. 아침 산책 겸 나간 바닷가 사구에서 이 버섯을 만났다. 살아 있는 벼과식물 갯그령 줄기의 밑동에 붙어 묶음으로 발생했다.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에 검색을 해보니 백사장눈물버섯(임시명) Psayhyrella ammophila 와 유사해 보인다. 밴드에 올려 자문을 구했다. 2023. 7. 11. 이름이 뭘까요? 이름이 뭘까요? | -beo-seot 학 ○ 분류 우리나라에는 지금까지 속에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포 | 여름~가을, ○ 개요 ○ 활용 식용버섯임. 독버섯임. 식*독 불명.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2017 푸른행복 ○ 여적 신안 안좌 박지도 상록활엽수림 아래 말징버섯이 발생한 곳 근처에서 만났다. 주름버섯속으로 보이는데 확신이 없어서 밴드에 올렸더니 실비듬주름버섯이라고 한다. 그런 갓 표피의 색깔과 인편이 어딘지 좀 다른 듯하다. 구굴 검색을 해보니 광비늘주름버섯(노란대주름버섯) Agaricus moelleri 와 유사해 보인다. 리더.. 2023. 7. 11. 이름이 뭘까요? 이름이 뭘까요? 2022. 09. 17. 경기 구리 동구릉에서 담았다. 아래의 과 속으로 검색해 봤다. 낙엽버섯과 꽃애기버섯속 Collybiopsis 낙엽버섯과 밀버섯속 Gymnopus 낙엽버섯과 낙엽버섯속 Marasmius 그 결과 우리나라에는 기록이 없는 Marasmius nigrodiscus 에 가장 가까워 보인다. (https://www.texasmushrooms.org/en/marasmius_nigrodiscus.htm) 2023. 2. 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