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장풀(1)
송장풀(1) | 개속단 Song-jang-pul Leonurus macranthus Maxim. ○ 국명정보 개속단(개방앳잎)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송장풀 : 조선식물명집(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송장풀"이라는 이름은 약하지만 된장이 썩는 듯한 불쾌한 냄새가 나고, 숲속에 가늘게 곧추서서 자라는데 꽃이 반쯤 벌린 듯하면서 흰색에 붉은색의 줄이 있는 모습이 송장(시체)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유래한 거승로 추정한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속단을 닮았다는 뜻의 개속단과 방아풀을 닮았다는 씅의 개방앳잎으로 기록했다. 조선식물명집에서 송장풀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
2017. 8. 10.
송장풀
송장풀 | 개속단 Song-jang-pul Leonurus macranthus Maxim. ○ 국명정보 개속단(개방앳잎)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송장풀 : 조선식물명집(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송장풀"이라는 이름은 약하지만 된장이 썩는 듯한 불쾌한 냄새가 나고, 숲속에 가늘게 곧추서서 자라는데 꽃이 반쯤 벌린 듯하면서 흰색에 붉은색의 줄이 있는 모습이 송장(시체)을 연상시킨다는 뜻에서 유래한 거승로 추정한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속단을 닮았다는 뜻의 개속단과 방아풀을 닮았다는 씅의 개방앳잎으로 기록했다. 조선식물명집에서 송장풀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꿀..
2014.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