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룩이자리2

벼룩이자리(1) 벼룩이자리(1) | 벼록이자리, 좁쌀뱅이, 벼룩나물, 모래별꽃, 일본명 ;ノミノツリ, 蚤綴字(조철자) Byeo-ruk-i-ja-ri Arenaria serpyllifolia L. ○ 국명정보 벼룩이자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벼룩이 +자리" 벼룩이자리라는 이름은 벼룩이와 자리의 합성어이다. 벼룩이는 곤충 벼룩을, 자리는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바닥에 까는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벼룩이자리라는 이름은 작고 앙증맞은 식물체와 잎 등을 벼룩이 앉을 자리에 빗댄 것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벼룩이자리속(Arenaria) 벼룩이울타리 / 벼룩이자리 ○ 분포|자생지 중국,.. 2021. 4. 22.
벼룩이자리 벼룩이자리 | 벼록이자리, 좁쌀뱅이, 벼룩나물, 모래별꽃, 일본명 ;ノミノツリ, 蚤綴字(조철자) Byeo-ruk-i-ja-ri Arenaria serpyllifolia L. ○ 국명정보 벼룩이자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벼룩이 +자리" 벼룩이자리라는 이름은 벼룩이와 자리의 합성어이다. 벼룩이는 곤충 벼룩을, 자리는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바닥에 까는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벼룩이자리라는 이름은 작고 앙증맞은 식물체와 잎 등을 벼룩이 앉을 자리에 빗댄 것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벼룩이자리속(Arenaria) 벼룩이울타리 / 벼룩이자리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 2014.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