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치광이풀3

미치광이풀(2) 미치광이풀(2) | 미치광이, 광대작약/미친풀, 낭탕/초우엉, 안질풀, 독뿌리풀 Mi-chi-gwang-i-pul Scopolia japonica Maxim. ○ 국명정보 미치광이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미치광이 + 풀", 미치광이풀이라는 이름은 독성이 강해 많이 먹으면 사람을 미치게 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초에 독성이 있으며 땅속줄기와 잎을 약용했다. 동의보감에 낭탕자(莨菪子)에 대해 "독이 많다. 치통에 주로 써서 벌레를 나오게 한다. 많이 먹으면 미쳐 날뛰고 헛것이 보이게 된다"고 기록해 이름의 유래를 뒷받침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가지과(Solanaceae) 미치광이풀속(Scopolia.. 2016. 4. 8.
미치광이풀(1) 미치광이풀(1) | 미치광이, 광대작약/미친풀, 낭탕/초우엉, 안질풀, 독뿌리풀 Mi-chi-gwang-i-pul Scopolia japonica Maxim. ○ 국명정보 미치광이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미치광이 + 풀", 미치광이풀이라는 이름은 독성이 강해 많이 먹으면 사람을 미치게 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초에 독성이 있으며 땅속줄기와 잎을 약용했다. 동의보감에 낭탕자(莨菪子)에 대해 "독이 많다. 치통에 주로 써서 벌레를 나오게 한다. 많이 먹으면 미쳐 날뛰고 헛것이 보이게 된다"고 기록해 이름의 유래를 뒷받침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가지과(Solanaceae) 미치광이풀속(Scopolia.. 2014. 4. 10.
미치광이풀 미치광이풀 | Mi-chi-gwang-i-pul Scopolia japonica Maxim. ○ 국명정보 미치광이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미치광이 + 풀", 미치광이풀이라는 이름은 독성이 강해 많이 먹으면 사람을 미치게 하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초에 독성이 있으며 땅속줄기와 잎을 약용했다. 동의보감에 낭탕자(莨菪子)에 대해 "독이 많다. 치통에 주로 써서 벌레를 나오게 한다. 많이 먹으면 미쳐 날뛰고 헛것이 보이게 된다"고 기록해 이름의 유래를 뒷받침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가지과(Solanaceae) 미치광이풀속(Scopolia) 미치광이풀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강원, 경기, 평남북.. 2014.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