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도바람꽃3

나도바람꽃(2) 나도바람꽃(2) | East Asian false rue anemone Na-do-ba-ram-kkot Enemion raddeanum Regel ※나도바람꽃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545 나도바람꽃(1) https://ihogyun.tistory.com/2762889 ○ 국명 정보 나도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바람꽃", 나도바람꽃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바람꽃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나도바람꽃속(Enemion) 나도바람꽃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우수리), 일본, 한국 | 지리산 이북의 산지 숲 속, 습기가 많고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 2016. 4. 14.
나도바람꽃(1) 너도바람꽃(1) | 절분초, White snowdrop Neo-do-ba-ram-kkot Eranthis stellata Maxim. ☆Eranthis (봄꽃)←er(spring)+anthos(flower), stellata (반짝이는 별 같은, 별 모양) ○ 국명 정보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연구회, 1949) ○ 국명의 유래 바람꽃과 닮았다 하여 너도바람꽃이라 명명되었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너도바람꽃속(Eranthis) 너도바람꽃 / 변산바람꽃 / 풍도바람꽃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한국 | 전국 산지의 반음지의 골짜기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덩이뿌리 구형이고 수염뿌리가 많으며 그 선단에서 꽃대와 잎이 나온다. 줄기 .. 2013. 8. 14.
나도바람꽃 나도바람꽃 | East Asian false rue anemone Na-do-ba-ram-kkot Enemion raddeanum Regel ○ 국명 정보 나도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바람꽃", 나도바람꽃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바람꽃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나도바람꽃속(Enemion) 나도바람꽃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우수리), 일본, 한국 | 지리산 이북의 산지 숲 속, 습기가 많고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0-30cm이다. 잎 뿌리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길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줄기 위쪽에 달리고 잎자루가 짧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겹잎이.. 2013.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