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다리2

개다래(20120622) 개다래(20120622) | 개다래나무, 묵다래나무, 말다래, 못좃다래나무, 쥐다래나무, 못좆다래나무, 말다래나무(북한명), 쉬젓가래, 木天蓼(목천료)Gae-da-raeActinidia polygama (Siebol & Zucc.) Planch. ex Maxim.  ○ 국명정보개다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개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개 + 다래",   개다래라는 이름은 다래와 비슷하지만 열매가 혓바닥을 쏘는 듯한 아린 맛을 낼 뿐 달지 않아 먹기가 쉽지 않고 쓰임새가 덜하여 다래보다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주요 자생지인 강원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열매를 식용할 수는 있으나 단맛이 덜하다. 옛 문헌에 기록된 木天蓼(목천료)는 열매에서.. 2024. 4. 11.
개다래 개다래 | 개다래나무, 묵다래나무, 말다래, 못좃다래나무, 쥐다래나무, 못좆다래나무, 말다래나무(북한명), 쉬젓가래, 木天蓼(목천료) Gae-da-rae Actinidia polygama (Siebol & Zucc.) Planch. ex Maxim. ○ 국명정보 개다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개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다래", 개다래라는 이름은 다래와 비슷하지만 열매가 혓바닥을 쏘는 듯한 아린 맛을 낼 뿐 달지 않아 먹기가 쉽지 않고 쓰임새가 덜하여 다래보다 못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주요 자생지인 강원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열매를 식용할 수는 있으나 단맛이 덜하다. 옛 문헌에 기록된 木天蓼(목천료)는 열매에서 쏘는 듯한 맛.. 2014.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