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847

풀또기 풀또기 | 풀또끼, 팜풀또기 Pul-tto-gi Prunus triloba var. truncata Kom. ○ 국명정보 풀또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풀 + 또기", 풀또기라는 이름은 함경북도 회령과 무산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그 정확한 어원과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북한 방언으로 오뚜기를 오또기라고 하는 것에 비추어 풀또기를 풀이 높이 자란 모습처럼 보이는 것과 관련된 이름으로 추론되지만, 함북 방언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그 정확한 유래는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 벚나무 / 복.. 2013. 7. 18.
긴잎갈퀴 긴잎갈퀴 | 꽃갈퀴, 개꽃갈퀴, 부전꽃갈퀴, 대흥긴잎갈퀴 Gin-ip-gal-kwi Galium boreale L. ○ 분류 꼭두서니과(Rubiaceae) 갈퀴덩굴속(Galium) 가는네잎갈퀴 / 개선갈퀴 / 네잎갈퀴 / 두메갈퀴 / 민둥갈퀴 / 산갈퀴 / 좀네잎갈퀴 / 참갈퀴덩굴 / 갈퀴덩굴 / 긴잎갈퀴 / 솔나물 / 큰잎갈퀴 / 털긴잎갈퀴 / 애.. 2013. 7. 17.
좁은잎사위질빵 좁은잎사위질빵 | 좀사위질빵, 가는닢사위질빵, 가는잎목단풀, 가는잎모란풀 Jop-eun-ip-sa-wi-jil-bbang Clematis hexapetala Pall. ※ 종소명 'hexapetala' 은 '꽃잎이 6개 달린'의 뜻임. ○ 국명정보 좁은잎사위질빵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좀사위질빵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좁은잎 + 사위질빵", 좁은잎사위질빵이라는 이름은 잎이 좁은 사위질빵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는 좀사위질빵을 신칭해 기록했으나 한국수목도감에서 좁은잎사위질빵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아리속(Clematis).. 2013. 7. 17.
물싸리풀 물싸리풀 | 풀매화, 풀물싸리 Mul-ssa-ri-pul Potentilla bifurca var. glabrata Lehm. ○ 국명정보 물싸리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물싸리 + 풀", 물싸리풀이라는 이름은 물싸리와 닮았지만 나무가 아니라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개비 / 검은낭아초 / 넓은딱지 / 눈양지꽃 / 당양지꽃 / 딱지꽃 / 만주딱지꽃 / 물싸리 / 물싸리풀 / 물양지꽃 / 민눈양지꽃 / 세잎양지꽃 / 솜양지꽃 / 양지꽃 / 은양지꽃 / 좀개쇠스랑개비 / 좀딸기 / 좀양지꽃 / 돌양지꽃 / 섬양지꽃 / 제주양지꽃 / 참양지꽃 / 털딱지꽃 / bipetala / 흰물싸리 .. 2013.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