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PGIII분류체계한국속씨식물과별모음238

321.층층나무과(Cornaceae) 321.층층나무과(Corn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국화상목 층층나무목(Cornales) 321 층층나무과(Cornaceae) 박쥐나무속 (Alangium) 단풍박쥐나무 박쥐나무 층층나무속 (Cornus) 흰말채나무(재배) 노랑말채나무(재배) 풀산딸나무 층층나무 층층나무(1) 산딸나무 곰의말채나무 (1) (2) 말채나무 산수유(재배) (1) 루브라꽃산딸나무(재배) 꽃산딸나무'클라우드나인' ※개요 층층나무과 또는 산수유나무과는 층층나무목에 속하는 속씨식물의 과이다. ※분류와 분포 남북 양반구의 온대에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11속의 약 100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층층.. 2015. 4. 15.
285.위성류과(Tamaricaceae) 285.위성류과(Tamaric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석죽상목 석죽목 (Caryophyllales) 285 318.위성류과(Tamaricaceae) 위성류속 Tamarix 위성류 (1) (2) (3) ※개요, 분포, 특징 위성류과(渭城柳科, Tamaricaceae)는 식물의 한 과이다.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제비꽃목으로 분류했으나, 최근의 APG 분류 체계에서는 석죽목으로 분류한다.(위키백과) ※약재로 사용하는 육종용(肉蓯蓉) Cistanche tubulosa (Schrenk) Hook.f. 이 위성류의 뿌리에 기생한다. 중국 위그르 사막지역에서 위성류를 심은 밭에서 육종용을 .. 2015. 4. 12.
315.쇠비름과(Portulacaceae) 315.쇠비름과(Portulacaceae)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석죽상목 석죽목Caryophyllales 315 쇠비름과(Portulacaceae)) 쇠비름속(Portulaca) 쇠비름 채송화 ※개요, 분포, 특징 쇠비름과는 미국의 태평양 연안에서 많이 자라는 석죽목 하위의 식물 과이다. ※분포 세계적으로 약 16속의 5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쇠비름 등 1속 2종이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 초본이지만 종류에 따라서는 관목인 것도 있는데 보통 살이 많다. ※특징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턱잎은 막질이거나 털 모양이지만 없는 것도 있다. 꽃은 양성화인데 방사대칭으로 2개의 작은 포엽이 꽃.. 2015. 4. 10.
287-7.마디풀과(Polygonaceae)-메밀속(Fagopyrum)&나도수영속(Oxyria) 287-7.마디풀과(Polygonaceae)-메밀속(Fagopyrum)&나도수영속(Oxyria) 문 분류군1 분류군2 분류군3 분류군4 분류군5 분류군6 NO. 과 속 종 속씨식물문 메스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석죽상목 석죽목 (Caryophyllales) 287-7 마디풀과(Polygonaceae) 메밀속(Fagopyrum) 메밀 나도수영속(Oxyria) 나도수영 ※개요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는 쌍떡잎식물이다. 43개 속에 약 1100종이 있다. ※분포, 특징 주로 북반구의 온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지만 열대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한국에서는 마디풀·수영·참소리쟁이·닭의덩굴·범꼬리·여뀌·메밀·며느리배꼽·쪽·개싱아 등 11속 58종이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 풀이지만 드물게는 나무가 .. 201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