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08

주황조밥나물 주황조밥나물 | 영명 Devil's-paintbrush ; Orange Hawkweed; King-devil Ju-hwang-jo-bap-na-mul Hieracium aurantiacum L. | 이명 재배식물 ○ 분류 국화과(Rosaceae) 조밥나물속(Hieracium) 껄껄이풀, 조밥나물, 까실조밥나물(재배), 주황조밥나물(재배), 고산조밥나물(재배), 유럽조밥나물(귀화) ○ 분포|자생지 북미 원산 | 일본 골프장 주변 잔디밭에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식물원 등에 원예용으로 식재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거친털이 많고, 높이 60~70cm 정도로 자란다. 잎 장타원상 피침형, 털이 많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여름~초가을에 두상화서를 이루어 주황색으로 핀다. 열매 수과이다.. 2013. 7. 27.
Leucothoe Grayana Maxim Leucothoe Grayana Maxim ○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Leucothoe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북해도) 등 아시아 | 축축한 땅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관목, 높이 0.5-1.3m 정도 자란다. 수피 잎 꽃 열매 ○ 동정 포인트 ○ 참고 http://ja.wikipedia.org/wiki/%E3%83%8F%E3%83%8A%E3%83%92%E3%83%AA%E3%83%8E%E3%82%AD ○ 여적 2013.. 2013. 7. 17.
말발도리 말발도리 | 말발도리나무, 털말발도리, 속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Mal-bal-do-ri Deutzia parviflora Bunge ○ 국명정보 말발도리 : 우리나라 식물명감 (박만규, 1949) 말발도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이시도야, 정태현 : (일본어)(1923) ○ 국명의 유래 1. "말발 + 도리"의 합성어임. 말발도리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으로, 열매의 모양이 말굽(말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말발도리나무로 기록했으나 에서 말발도리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말발도리란 국명은 5mm 남짓한 작고 앙증맞은 열매는 말발굽에 씌우는 편자 모양인데 유래한다. 도리는 아랫도리, 도리.. 2013. 7. 16.
산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 | 산개벗나무 San-gae-beot-ji-na-mu Prunus maximowiczii Rupr. ○ 국명정보 산개벚지나무 : 이창복, 한국수목도감(1966) 산개벗지나무(산개벗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개 + 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라는 이름은 높은 산에서 자라는 개벚지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꽃과 열매가 개벚지나무 또는 귀룽나무와 비슷한데, 개벚지나무에 비해 보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에서는 실제 조선에서 사용하는 개벗지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를 나타내는 산을 추가해 산개벗지나무를 신칭했다. 한국수목도감에서 맞춤법 변경에 따라 산개벚지나무로 개칭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 2013.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