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식물1508 암공작고사리 암공작고사리 | 바위공작고사리 Am-gong-jak-go-sa-ri Adiantum capillus-junonis Rupr. ○ 국명정보 암공작고사리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암 + 공작고사리", 암공작고사리라는 이름은 주로 석회암 바위 위에서 자라는 공작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Pteridophyta 양치식물문 > Polypodiopsida 고사리강 > Polypodiales 고사리목 > Adiantaceae 공작고사리과 > Adiantum 공작고사리속 공작고사리 Adiantum pedatum L. 고려공작고사리 Adiantum coreanum Tagawa 섬공작고사리 Adiantum monochlamys D. C. Eaton 암공작고사리 Adiantum capillus-.. 2015. 1. 8. 초령목 초령목 | 招靈木 , 귀신나무 Cho-ryeong-mok Michelia compressa (Maxim.) Sarg.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 국명정보 초령목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귀신나무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신령을 부르는 나무'라는 뜻에서 초령목 또는 귀신나무라고 한다. 일본에는 비교적 흔한 나무로 일본명 한자를 그대로 가져다 쓰고 있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목련과(Magnoliaceae) 초령목속(Michelia) 초령목 ○ 분포|자생지 일본(혼슈 이남), 타이완, 필리핀, 한국 | 제주도에 매우 드물게 자생하며 남부지방에 간혹 식재한다. ○ 형태 수형 상록 소교목이며 높이 15m, 지름 1m 정도로 자란다. 수피 회.. 2014. 12. 30. 태산목(20121122) 태산목(20121122) | 泰山木, 양옥란(洋玉蘭), 양목란, 큰목련, 끈꽃목련(중국명) | 영명: Bull Bay , Southern MagnoliaTae-san-mokMagnolia grandiflora L.※종소명 'grandiflora'는 큰 꽃이라는 뜻이다.재배식물 ○ 국명정보 태산목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국명의 유래 "태산 + 목", 태산목이란 이름은 일본에 쓰는 이름을 가져온 것이다. 태산은 중국의 큰 산이다. 미국의 동남부가 원산인 태산목은 둥그스름한 잎의 길이가 거의 한 뼘이나 되고, 꽃은 두 손으로 감싸쥐어도 남을 만큼 크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목련과(Magnoliaceae) 목련속(Magnolia) 목련 / 백목련 / 일본목련 / 자.. 2014. 12. 30. 분홍노루발(20050724) 분홍노루발 (20050724) | 분홍노루발풀Bun-hong-no-ru-balPyrola asarifolia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 Takah. | 이명 Pyrola asarifolia Michx.※분홍노루발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695 ○ 국명정보분홍노루발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분홍 + 노루발", 분홍노루발이라는 이름은 노루발과 닮았으나 황백색의 꽃이 피는 노루발과 달리 연한 분홍색의 꽃이 핀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노루발과(Pyrolaceae) 노루발속(Pyrola) ※APG IV 분류체계에서는 진.. 2014. 12. 21. 이전 1 ··· 366 367 368 369 370 371 372 ··· 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