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491

물싸리(1) 물싸리(1) | 長春花, 金盞草, Stiff shrubby cinquefoil Mul-ssa-ri Potentilla fruticosa L. ○ 국명정보 물싸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물 + 싸리", 물싸리라는 이름은 고산의 습지(물)에서 자라는 싸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함경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가락지나물 / 개소시랑개비 / 검은낭아초 / 넓은딱지 / 눈양지꽃 / 당양지꽃 / 딱지꽃 / 만주딱지꽃 / 물싸리 / 물싸리풀 / 물양지꽃 / 민눈양지꽃 / 세잎양지꽃 / 솜양지꽃 / 양지꽃 / 은양지꽃 / 좀개쇠스랑개비 / 좀딸기 .. 2015. 8. 20.
차꼬리고사리(1) 차꼬리고사리(1) Cha-kko-ri-go-sa-ri Asplenium trichomanes L. | Asplenium trichomanes subsp. quadrivalens D.E.Meyer ○ 분류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꼬리고사리속(Asplenium) 파초일엽 / 차꼬리고사리 / 개차고사리 / 깃고사리 / 반들깃고사리 / 숫돌담고사리 / 쪽잔고사리 / 애기꼬리고사리 /돌좀고사리 / 꼬리고사리 / 거미꼬리고사리 / 수수고사리/ 돌담고사리 / 사철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히말라야, 러시아, 코카시아, 인도, 유럽,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 전남(해남 달마산) 돌담이나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근경 짧고 고추서며, 마른 잎으로.. 2015. 8. 20.
등수국(2) 등수국() | 넌출수국(북한명), 덩굴수국 Deung-su-guk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 국명정보 등수국 : 이창복 (1947) 넌출수국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등 + 수국", 등수국이라는 이름은 등나무처럼 넝쿨이 지는 수국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넌출수국을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등수국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등 + 수국"의 합성어임. 등나무처럼 덩굴로 자라면서 꽃을 피우는 수국과 닮은 데서 유래한다. 등수국은 큰 나무 줄기나 바위에 공기뿌리를 붙여가면서 10m 이상 길게 자란다. 출전:박상진(2019) ○ 분류 수국과(H.. 2015. 8. 20.
돌좀고사리(1) 돌좀고사리(1) Dol-jom-go-sa-ri Asplenium ruta-muraria L. ○ 국명정보 돌좀고사리 :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 국명의 유래 "돌 + 좀고사리", 돌좀고사리라는 이름은 주로 바위(돌) 틈에서 자라는 좀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꼬리고사리속(Asplenium) 파초일엽 / 차꼬리고사리 / 개차고사리 / 깃고사리 / 반들깃고사리 / 숫돌담고사리 / 쪽잔고사리 / 애기꼬리고사리 /돌좀고사리 / 꼬리고사리 / 거미꼬리고사리 / 수수고사리/ 돌담고사리 / 사철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히말라야, 러시아, 유럽, 북어매라커, 한국 | 강원, 충북 등 석회암 지대의 바위틈이나 .. 2015.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