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366

말발도리 말발도리 | 말발도리나무, 털말발도리, 속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Mal-bal-do-ri Deutzia parviflora Bunge ○ 국명정보 말발도리 : 우리나라 식물명감 (박만규, 1949) 말발도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이시도야, 정태현 : (일본어)(1923) ○ 국명의 유래 1. "말발 + 도리"의 합성어임. 말발도리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으로, 열매의 모양이 말굽(말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말발도리나무로 기록했으나 에서 말발도리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말발도리란 국명은 5mm 남짓한 작고 앙증맞은 열매는 말발굽에 씌우는 편자 모양인데 유래한다. 도리는 아랫도리, 도리.. 2013. 7. 16.
산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 | 산개벗나무 San-gae-beot-ji-na-mu Prunus maximowiczii Rupr. ○ 국명정보 산개벚지나무 : 이창복, 한국수목도감(1966) 산개벗지나무(산개벗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개 + 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라는 이름은 높은 산에서 자라는 개벚지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꽃과 열매가 개벚지나무 또는 귀룽나무와 비슷한데, 개벚지나무에 비해 보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에서는 실제 조선에서 사용하는 개벗지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를 나타내는 산을 추가해 산개벗지나무를 신칭했다. 한국수목도감에서 맞춤법 변경에 따라 산개벚지나무로 개칭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 2013. 7. 8.
머위 머위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 분류 국화과(Compositae) 머위속(Petasites) 개머위, 머위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의 산골짜기, 길가, 물가의 다소 습기가 있고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 여적 일본 홋카이도 치토세 국제공항에서 내려서 버스로 이동하면서 3박4일 삿보.. 2013. 7. 8.
홍월귤 홍월귤 Arctous ruber (Rehder & E.H.Wilson) Nakai ○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홍월귤속(Arctous) 홍월귤 ○ 분포|자생지 중국(북부), 일본, 몽골, 러시아, 북아메리카, 한국 | 강원도(설악산), 양강도, 함북, 함남, 자강도의 고산지대 암석지 및 초원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소교목이며 높이 5-20cm 정도.. 2013.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