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356

사다리봉의꼬리 사다리봉의꼬리 | 영명 : ladder brake fern, Chinese brake fern Pteris vittata L. ○ 분류 고사리과(Pteridaceae) 봉의꼬리속(Pteris) 큰봉의꼬리 / 알록큰봉의꼬리 / 봉의고리 / 반쪽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대만, 태국, 호주, 중앙~남아프리카, 캘리포니아, 텍사스, 미국 동남부지역 | 석회암 절벽, 절개.. 2014. 3. 30.
산유자나무 산유자나무 | 산수유자나무(북한명), 일본명 ; クストイゲ, 영문명 ; Shiny xylosma(추천명) San-yu-ja-na-mu Xylosma congesta (Lour.) Merr. ○ 국명정보 산유자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유자나무", 산에서 자라는 나무인데 유자나무처럼 가지에 가시가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산유자나무는 운향과인 유자나무와는 다는 이나무과에 속한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산유자나무과(Flacourtiaceae) 산유자나무속(Xylosma) 산유자나무 ※ APG III 분류체계에서는 버드나무과의 산유자나무속으로 분류되어 있다. ○ 분포|자생지 중국(남부), 일본(혼슈 이남), 타이완, 인.. 2014. 3. 19.
흰땃딸기 흰땃딸기 | 힌땃딸기, 산땃딸기, 산땅딸기/흰땅딸기, 흰따딸기, 흰뱀딸기, 딸기 Hin-ttat-ttal-gi Fragaria nipponica Makino ○ 국명정보 흰땃딸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힌땃딸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흰 + 땃딸기", 흰땃딸기라는 이름은 꽃이 흰색이고 땃딸기와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에서 전통 명칭 땃딸기를 기본으로 하고 꽃으 색깔을 나타내는 힌을 추가해 힌땃딸기를 신칭했으나 표기법의 변화에 따라 흰땃딸기로 개칭행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장미과(Rosaceae) 딸기속(Fragaria) 딸기 / 흰땃딸기 / 땃딸기 ○ 분포|자생지 중국.. 2013. 11. 20.
회향 회향 | 茴香, 蘹萫, Fennel Hoe-hyang Foeniculum vulgare Mill., 1768. | 귀화식물 ○ 국명 정보 회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회향" 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茴香에서 비롯되었으며, 향이 강해 음식을 만들 때 냄새를 제거하거나 향이 돌아오게 하는 효능이 있어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piales 미나리목 > Apiaceae 미나리과 > Foeniculum 회향속 회향 ○ 분포 | 자생지 지중해 원산, 유럽, 지중해 지역 등 전 세계 | 제주도 저지대, 울릉도, 서울 한강 둔.. 2013.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