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좀고사리(1)
돌좀고사리(1) Dol-jom-go-sa-ri Asplenium ruta-muraria L. ○ 국명정보 돌좀고사리 :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 국명의 유래 "돌 + 좀고사리", 돌좀고사리라는 이름은 주로 바위(돌) 틈에서 자라는 좀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꼬리고사리속(Asplenium) 파초일엽 / 차꼬리고사리 / 개차고사리 / 깃고사리 / 반들깃고사리 / 숫돌담고사리 / 쪽잔고사리 / 애기꼬리고사리 /돌좀고사리 / 꼬리고사리 / 거미꼬리고사리 / 수수고사리/ 돌담고사리 / 사철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히말라야, 러시아, 유럽, 북어매라커, 한국 | 강원, 충북 등 석회암 지대의 바위틈이나 ..
2015. 7. 29.
큰달맞이꽃(1)
큰달맞이꽃(1) | 달맞이꽃, 왕달맞이꽃, 월견초 Keun-dal-mat-i-kkot Oenothera erythrosepala (Borbás) Borbás | Oenothera glazoviana Micheli 귀화식물 ○ 국명 정보 달맞이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큰달맞이꽃 :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큰 + 달맞이꽃", 큰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큰 달맞이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바늘꽃과(Onagracea) 달맞이꽃속(Oenothera) 달맞이꽃 / 큰달맞이꽃 / 긴잎달맞이꽃 / 애기달맞이꽃 ○ 분포|자생지 북아메리카 원산 | 강원도, 경기(시흥), 제주 등의 산과 들에 자란다. ..
2015.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