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508

질경이택사(3) 질경이택사(3) | Asian water plantainJil-gyeong-i-taek-saAlisma orientale (Sam.) Juz.  | Alisma plantago-aquatica L. var. orientale Sam ○ 국명정보질경이택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질경이 + 택사",  질경이택사라는 이름은 택사를 닮았는데 잎이 질경이 같다고 하여 붙여졌으며, 질경이속 식물을 뜻하는 학명에서 유래했다. 속명 Alisma는 그리스어 Alis[물, 바닷물]에 어원을 둔 어떤 수초의 이르에서 유랬으며 택사속을 일컫는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택사과(Alismataceae) 택사속(Alisma)  .. 2019. 1. 9.
산쥐손이(1) 산쥐손이(1) | 다후리아쥐손이, 산쥐손이풀, 산쥐소니, 조근노관초(粗根老鹳草 cu gen lao guan cao ) San-jwi-son-i Geranium dahuricum DC. ○ 국명정보 산쥐손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쥐손이", 산쥐손이라는 이름은 고산의 정상 부근에 자라는 쥐손이풀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지리산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쥐손이풀과(Geraniaceae) 쥐손이풀속(Geranium) 미국쥐손이 / 산쥐손이 / 꽃쥐손이 / 부전쥐손이 / 큰세잎쥐손이 / 섬참이질풀 / 둥근이질풀 / 흰둥근이질풀 / 털둥근이질풀 / 선이질풀 / 털선이질풀 .. 2019. 1. 9.
덤불오리나무(3) 덤불오리나무(3) |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 묏불오리, 설령오리나무, 만주덤불오리나무(북한명) Deom-bul-o-ri-na-mul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 Alnus viridis (Chaix) DC. subsp. fruticosa (Rupr.) Nyman ○ 국명정보 덤불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덤불 + 오리나무"의 합성어로 숲속 덤불에서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에서 신칭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오리나무속(Alnus) 덤불오리나무(두메오리나무) / 물오리나무(물갬나무, 산오리.. 2019. 1. 9.
버들까치수염(3) 버들까치수염(3) | 버들잎꼬리풀, 버들잎까치수염, 땅까치수염, 버들까치수영, 버들개꼬리풀(북한명) Beo-deul-kka-chi-suyeom Lysimachia thyrsiflora L. ○ 국명정보 버들까치수염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버들 + 까치수염", 버들까치수염이라는 이름은 저지대 습지에 자라며 잎의 모양이 버드나무와 비슷한 까치수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참좁쌀풀속(Lysimachia) 갯까치수염 / 까치수염 / 물까치수염 / 버들까치수염 / 좀가지풀 / 좁쌀풀 / 참좁쌀풀 / 큰까치수염 / 홍도까치수염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몽.. 2019.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