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영국 KeyGarden215

Austroblechnum penna-marina(20120622) Austroblechnum penna-marina (20120622) | 영문명 Blechnum penna-marina, known as Antarctic hard-fern, Little Hard Fern, Alpine Hard Fern, alpine water fern and pinque 아우스트로블레크눔 펜나-마리나 Austroblechnum penna-marina (Poir.) Gasper & V.A.O.Dittrich | 이명 Acrostichum polytrichoides ThouarsBlechnum alpinum (R.Br.) Mett. / Blechnum hillii C.Chr. / Blechnum parvifolium (Colenso) C.Chr.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 2025. 2. 14.
히말라야푸른양귀비 (20120622) 히말라야푸른양귀비 (20120622)  | 영문명 Himalayan blue poppy Hi-mal-ra-ya-pu-reun-yang-gwi-bi Meconopsis betonicifolia Franch. | 이명 Meconopsis baileyi 재배식물 ○ 국명정보히말라야푸른양귀비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히말라야푸른양귀비라는 이름은 이 식물의 영명 Himalayan blue poppy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Papaveraceae 양귀비과> Meconopsis 메코놉시스속  히말라야푸른양귀비 Meconopsis betonicifolia Franch.  ○ 분포 | 자생지네팔, 티베트, 미얀마의 히말라야 지역에서 2000-5000 미터 높이에서 발견되는 희귀 한 꽃입니다. 서늘하고.. 2025. 2. 14.
Peltoboykinia tellimoides(20120622) Peltoboykinia tellimoides (20120622) | 涧边草 [jian bian cao] 펠토보이키니아 텔리모이데스 Peltoboykinia tellimoides (Maxim.) H.Hara,(1937)  | 이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 Saxifragaceae 범위귀과 > Peltoboykinia 펠토보이키니아속 펠토보이키니아 텔리모이데스 Peltoboykinia tellimoides (Maxim.) H.Hara,(1937)  ○ 분포 | 자생지이 종의 원산지는 중국(N. Fujian), 일본(N. & Central Honshu)입니다. 그것은 다년생 또는 뿌리 줄기 구근이며 주로 온대 생물 군계에서 자랍니다. https://powo.science.kew.org/ta.. 2025. 2. 14.
터리풀(20120622) 터리풀(20120622) | 민털이풀/털이풀Teo-ri-pul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1914)※한국고유종 ○ 국명정보터리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터리 + 풀",  터리풀이라는 이름은 꽃이 핀 모습이 마치 털을 묶어 가지  끝에 맨 것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터리풀의 터리는 털의 옛말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장미과(Rosaceae) > 장미아과(Rosoideae) > 터리풀속(Filipendula)단풍터리풀 / 붉은터리풀 / 지리터리풀 / 터리풀 ○ 분포|자생지 이 종의 원산지는 연해주에서 중국 북부와 한국, 사할린에서 일본 북부입니다. 그것은 다년생이며 주.. 2025.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