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새
기름새 | アブラススキ Gi-reum-sae Spodiopogon cotulifer (Thunb.) Hack. ○ 국명정보 기름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기름 + 새", 기름새라는 이름은 잎에 광택이 있고 줄기에서 양념으로 쓰는 기름 냄새가 나는 것을 '기름'에 비유하고, 외떡잎식물 중 벼와 같은 좁고 날카로운 잎을 가진 식물을 지칭하는 고유어 새를 붙인 것에서 유래했다. 현재 동북아 3국이 모두 유사한 뜻의 식물명을 공유하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기름새속(Spodiopogon) 기름새 / 큰기름새 ○ 분포|자생지 일본, 대만, 중국(만주), 인도(북부), 한국 | 제주도를 포함하..
2013. 9. 5.
큰기름새
큰기름새 | 아들매기 Keun-gi-reum-sae Spodiopogon sibiricus Trin. ○ 국명정보 큰기름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기름새", 큰기름새라는 이름은 기름새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북한명 아들매기는 벼의 겉 줄기에서 나는 이삭을 뜻하는 아들이삭과 관련된 이름이라고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기름새속(Spodiopogon) 기름새 / 큰기름새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동시베리아), 일본, 한국 | 전국 산지 풀숲, 길가, 들판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길다. 줄기 곧게 자라며 높이 70-120cm, 7-9개의..
2013. 9. 5.
큰쥐꼬리새
큰쥐꼬리새 | 큰쥐꼬리풀 Keun-jwi-kko-ri-sae Muhlenbergia huegelii Trin. ○ 국명정보 큰쥐꼬리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 + 쥐꼬리새", 큰쥐꼬리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보다 큰 쥐꼬리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쥐꼬리새속(Muhlenbergia) 선쥐꼬리새, 큰쥐꼬리새, 쥐꼬리새 ○ 분포|자생지 일본, 대만, 중국(동북부), 러시아(아무르), 히말라야, 필리핀, 한국 | 강원, 경기 이남의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길게 옆으로 벋고 지름 3~5㎜이며 많은 혁질(革質)로 윤채가 나는 인편으로 덮인다. 줄기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며 종종 많은 가지를 내어 옆으로 눕고 높이 50~..
2013.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