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4

좀겨풀(20241010) 좀겨풀(20241010) | 겨풀, 개빕새피, 쌀겨풀Jom-gyeo-pulLeersia oryzoides (L.) Sw.  ○ 국명정보좀겨풀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 "좀 + 겨풀", 좀겨풀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겨풀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겨풀속(Leersia) 나도겨풀 / 좀겨풀 / 겨풀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한국  | 거의 전역의 축축한 강둑, 물가, 논 주변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습지식물   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일어서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50cm에 달하며 마디에 밑을 향한 거센 털이 있다.    잎  편평하지만 마르면 오그라들고 길이 15-25cm.. 2024. 10. 11.
큰듬성이삭새(20241005) 큰듬성이삭새(20241005) | 큰나도바랭이새, 북한명 : 나도바랭이, 새층층이, 나도바랭이새Keun-deum-seong-i-sak-sae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국명정보큰듬성이삭새 : 박만규 :(1949)○ 국명의 유래 "큰 + 듬성이삭새", 큰듬성이삭새라는 이름은 이삭이 많이 달리는(큰) 까락이 없는 나도바랭이새(듬성이삭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도바랭이속(Microstegium)  민바랭이새 / 나도바랭이새 / 큰듬성이삭새 ○ 분포|자생지   난온대~냉온대, 일본(홋카이도, 혼슈), 한국 등) | 전국의 숲정이 가장자리, 낮은 산지와 구릉지의 길가, 임도가장자리 등, 반음지~양지, 적.. 2024. 10. 5.
겨풀(20241005) 겨풀(20241005) | 개겨풀, 벼겨풀, 개조풀, 빕새풀, 개빕새피Gyeo-pulLeersia sayanuka Ohwi | Leersia oryzoides (L.) Sw. ○ 국명정보겨풀 : ?개조풀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국명의 유래 "겨 + 풀", 겨풀이라는 이름은 '벼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인 '겨'에 풀이 합성된 것으로 영과의 껍질이 벼와 유사한 데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겨풀속(Leersia) 나도겨풀 / 좀겨풀 / 겨풀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한국  |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등의 하천 물가, 저수지, 논 주변 등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습지식.. 2024. 10. 5.
낚시귀리(20240919) 낚시귀리(20240919) | 그늘납작귀리, 라티폴리움카스만티움, 영명 woodoats, inland sea oats, northern sea oats, and river oats, North america wild oats, Spangle grass, SeaoatsNak-si-sa-choChasmanthium latifolium (Michx.) H.O.Yates | 다른학명외래식물※처음 Bromus briziformis Bromus Briziformis Fisch. et Mey(낚시귀리)으로 잘못 동정하여 바로잡음 ○ 국명정보낚시귀리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낚시 + 귀리", 낚시귀리라는 이름은 화서가 낚싯대처럼 드리워져 있고 열매가 귀리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 2024.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