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류

외줄면충(20250531)

by 풀꽃나무광 2025. 6. 2.

외줄면충(20250531) | 느티나무외줄진딧물, Keyaki-Hushi-Aburamushi

Oe-jul-myeon-chung
Paracolopha morrisoni (Baker, 1919) | 이명 Watabura moriokensis Monzen, 1929 / 
Tetraneura zelkovisucta Zhang, 1980 /  원기재명 Dryopeia morrisoni Baker, 1919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Hemiptera (노린재목) > Sternorrhyncha (진딧물아목) > Aphidoidea (진딧물상과) > Aphididae (진딧물과) > Eriosomatinae (면충아과) > Eriosomatini > Paracolopha > morrisoni (외줄면충)

외줄면충 Paracolopha morrisoni (Baker, 1919) 

 

 분포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개요

무시태생 암컷성충은 소형으로 암녹색을 띠며 백색 밀랍으로 덮여있다. 머리는 작고, 가슴과 배는 볼록하며, 등면은 막질로 가는 털이 있으며, 더듬이는 4절이다. 무시태생 성충은 타원형으로 머리와 가슴이 검은색, 배는 암색, 등면은 혁질로 가는 털이 있으며 더듬이는 6절이다.

 


○ 생태

연 수회 발생하며 수피틈에서 알로 월동한다. 알은 4월 중순에 부화하며 약충은 새로운 잎 뒷면에 기생한다. 기생된 잎은 약충의 흡즙 자극에 의해 오목하게 들어가며 잎 표면에는 표주박 모양의 벌레혹이 형성된다. 벌레혹은 비대해지기 시작하여 약 20일 후에는 암컷성충이 벌레혹 속에서 약충을 낳기 시작한다. 5월 하순∼6월 상순에 유시태생 암컷 성충이 출현하여 중간기주인 대나무류에 이주한다. 무시태생 성충이 낳은 약충은 중간기주의 근부에서 여름을 지내고 10월 중·하순 유시태생 암컷성충이 출현하여 주기주인 느티나무로 이동한다.

 

○ 피해
느티나무 잎에 표주박 모양의 녹색 벌레혹을 형성하며 수액을 흡즙 가해한다. 유시태생 암컷성충이 벌레혹으로부터 탈출하면 벌레혹은 갈변하여 경화된 채로 잎위에 남는다. 대발생하면 전체 잎에 벌레혹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친다. 유시태생 암컷성충이 낳은 양성 암컷성충은 수컷과 교미 후, 체내에 포란한 상태로 수피 상에서 죽는다. 체피는 겨울 동안 풍우에 의해 파열하여 다음해 봄에 알이 노출한다.

 

 동정 포인트

 

 참고

산림청 - 분야별산림정보 > 산림재난 > 산림병해충 > 병해충검색 > 해충검색 : 외줄면충(느티나무외줄진딧물)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여적

2025. 05. 31. 평창 청소년수련원

'곤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발나비(20250604)  (0) 2025.06.05
오리나무잎벌레?(20250531)  (0) 2025.06.02
털두꺼비하늘소 (20250531)  (0) 2025.06.02
애기세줄나비(20250531)  (0) 2025.06.02
왕인갈고리나방(20250530)  (0) 2025.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