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얼치기복주머니란(20250508)

by 풀꽃나무광 2025. 5. 9.

얼치기복주머니란(20250508) | 겨자복주머니란, 자주복주머니란, 장미빛복주머니란, 장밋빛복주머니란
영문명 Eolchigi lady’s slipper

Eol-chi-gi-bok-ju-meo-ni-ran  

Cypripedium × ventricosum Sw.    

 

 분류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idae (백합아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ypripedium (복주머니란속) > × ventricosum (얼치기복주머니란)

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노랑복주머니란 Cypripedium calceolus L. 노랑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산서복주머니란 Cypripedium shanxiense S.C.Chen 산서복주머니란 
양머리복주머니란 Cypripedium agnicapitatum Y.N.Lee 양머리복주머니란 
얼치기복주머니란 자생식물 Cypripedium × ventricosum Sw. 얼치기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 자생식물 Cypripedium guttatum Sw. 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yunnanense Franch. 운남복주머니란, 재배식물
Cypripedium bardolphianum var. zhongdianense S.C.Chen 중디안복주머니란, 재배식물 
Cypripedium tibeticum King ex Hemsl. 티베트복주머니란, 재배식물   

 

 분포|자생지
유라시아의 북위 50-60°지역과 캄차카에 넓게 분포하며 백두산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벋으며 마디에 수염뿌리가 조금 있다. 키는 40-50cm로 곧게 서며 가는 털이 있다. 잎은 3-4개가 마주나고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대의 포는 잎 모양으로 바로 선다. 꽃은 꽃줄기 끝에 보통 2개가 달리지만, 간혹 1개가 달리기도 한다. 등꽃받침은 달걀모양으로 자갈색의 세로줄과 반점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색이 다양하다. 입술꽃잎은 아주 옅은 붉은빛을 띤 흰색이다. 곁꽃받침은 담녹색을 띤 탁한 흰색 바탕에 자갈색 반점이 있다. 꽃은 5-6월에 핀다. 전체적인 형태가 복주머니난과 노랑복주머니난의 중간형으로 유전자분석결과도 이 두 종의 잡종에서 기원했다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

 

 동정 포인트 

 

 참고

국가표준식물목록 > 식물명검색 > 상세검색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남숙 <한국의 난과 식물 도감>

 

 여적

2025. 05. 08. 광릉 국립수목원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의다리아재비(20250508)  (1) 2025.05.09
가침박달(20250508)  (0) 2025.05.09
흰복주머니란(20250508)  (1) 2025.05.09
노랑복주머니란(20250508)  (0) 2025.05.09
광릉요강꽃(20250508)  (1)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