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갈퀴(20250506) | 꽃갈퀴, 왜차꽃갈퀴, 참큰잎갈퀴덩굴, 왜참갈퀴. 영문명 White Dahurian bedstraw
Hin-gal-kwi
Galium tokyoense Makino | 이명 Galium asprellum Michx. var. tokyoense (Makino) Nakai /
Galium dahuricum Turcz. ex Ledeb. f. tokyoense (Makino) Kitag. / Galium dahuricum Turcz. ex Ledeb. var. tokyoense (Makino) Cufod.
○ 국명정보
흰갈퀴 :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흰갈퀴라는 이름은 흰 꽃이 피는 큰잎갈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Rubiales (꼭두선이목) > Rubiaceae (꼭두선이과) > Galium (갈퀴덩굴속) > tokyoense (흰갈퀴)
흰갈퀴 Galium tokyoense Makino
○ 분포 | 자생지
러시아 우수리, 동시베리아,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한다. | 우리나라 전역에 난다.
○ 개요
뿌리는 가늘고, 붉은색을 띤다. 줄기는 높이 30~60cm, 곧게 자라거나 덩굴져 다른 물체를 감고 오르기도 하며, 밑을 향한 가시와 능선이 있고, 단면은 사각형이다. 가지를 밑에서부터 친다. 잎은 4~6개씩 돌려나고,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15~40mm, 폭 3~10mm,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다소 뒤로 말리며, 밑은 점차 좁아져 짧은 대로 된다. 꽃은 6~7월 피는데 가지 끝 부근에서 빽빽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1~4mm로 짧고, 털이 다소 있다. 열매는 분과, 7월에 익으며, 털이 없다.
○ 동정 포인트
1. 줄기는 옆으로 누워 자라며,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는 점에서 줄기가 곧추서고, 가시털이 없는 솔나물류와 구별된다. 또한 잎은 4~6개가 돌려나는 점에서 큰잎갈퀴와 비슷하나 꽃은 흰색이고, 열매의 겉이 밋밋한 점에서 큰잎갈퀴와 구별된다.
○ 참고
○ 여적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자나무(20250506) (0) | 2025.05.06 |
---|---|
소경불알(20250506) (0) | 2025.05.06 |
각시둥굴레(20250506) (0) | 2025.05.06 |
큰애기나리(20250506) (0) | 2025.05.06 |
황새냉이(20250506)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