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국 태항산에서 만난 식물

소래풀(20250404)

by 풀꽃나무광 2025. 4. 13.

소래풀(20250404)  | 제비꽃냉이, 보라유채, 제갈채(중국명)

So-rae-pul

Orychophragmus violaceus (L.) O.E.Schulz]

※귀화식물

 

 학명 풀이

속명 Orychophragmus 그리스어 oryche(파다, 구멍뚫다) + pharama(울타리, 격막, 스크린) 합성어로 열매에 결막이 있는 것에서 유래한다. 종소명 'violaceus' 은 자홍색의, 보라색이라는 뜻이다. 명명자 (L.) O.E.Schulz는 Otto Fugen Schulz(1874-1936) 독일의 분류학자이다.

 

○ 국명의 정보

 소래풀 : 이창복 <우리나라의 식물자원>(1969)

 

○ 국명의 유래

 "소래 + 풀" 소래풀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혹 처음 기재할 때 발견된 곳이 경기도 소래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중국에서는 '諸葛菜'라 부른다. 제갈량이 심어서 軍糧에 대던 무이므로 제갈채라 부르게 되었다. 무는 6개월이면 다 자라 먹을 수 있으므로 출정하면 막사를 짓고 무를 심었다고 한다.

 

 분류
  십자화과(Cruciferae) 소래풀속(Orychophragmus)

 소래풀

 

 분포|자생지
 
  중국 원산 | 전남, 경기 등의 습기가 많은 계곡, 도랑, 산기슭, 덤불숲 등에 야생화되어 자란다.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  곧게 자라며 높이 20~50cm,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흰 가루로 덮여 있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 잎은 좁은 난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밑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 끝은 뾰족하다. 
     5~6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길이 25~30mm로 꽃받침잎의 2배 길이다.
   열매  각과, 7~8월에 익는데 선형으로 길이 5~11cm, 폭 1.5~3.0mm, 4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끝은 뿔처럼 된다. 씨는 타원형으로 길이 2~3mm이다.

 

 동정 포인트
  
1, 잎이 유채와 비슷하나 꽃이 자주색이므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참고

 이 종은 최초에 린네에 의해서 배추속(Brassica)으로 기재되었지만, 꽃이 보라색으로 피고 긴 수술 아래에 꿀샘이 없으며 열매가 선형인 특징으로 소래풀속(Orychophragmus)으로 분리되었다. 꽃이 제비꽃속(Viola) 식물처럼 보라색으로 피므로 제비꽃냉이로도 불린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출전 : 국가생물자원포털,   국가표준식물목록 

 

 여적

 태항산 관광지역 도로 양쪽마다 자주색으로 피는 소래풀이 많이 피어 있다. 자주색이라서 눈에 잘 띠기도 하려니와 색깔이 고와서 경관을 꾸리는 데 좋은 역할을 한다. 씨가 저절로 떨어져 다시 싹이 돋아 꽃이 피니 한번 씨를 뿌려 심어 두면 크게 관리하지 않아도 저절로 나고 자라니 좋을 듯하다.

2025. 04. 04. 중국 하남성 태항산맥 팔리구

'해외식물 > 중국 태항산에서 만난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삭줄(20250404)  (2) 2025.04.13
Leptopus chinensis (20250404)  (0) 2025.04.13
개나리속(20250403-06)  (0) 2025.04.13
현호색속(20250405)  (0) 2025.04.12
딱총나무속(20250404)  (0)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