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만년청(20250307)

by 풀꽃나무광 2025. 3. 8.

만년청(20250307) | 萬年靑, Lily-of-China, Sacred Lily-of-China

Man-nyeon-cheong

Rohdea japonica (Thunb.) Roth.


○ 국명정보
만년청 : 박만규 :<우리나라 식물명감>(1949)

○ 국명의 유래
"만년청" 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萬年靑에서 유래한 것으로 잎이 상록성이라는 특성에서 유래했다. 

 

 분류
  백합과(Liliaceae) 만년청속(Rohdea)

 만년청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식재) | 남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화단에 식재한다. 

원산지에서는 해발 700-1700m 숲 속의 다소 습기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뿌리줄기   굵고, 지름 1.5-2.5cm, 비스듬히 선다.
     뿌리줄기에서 모여 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30-50cm, 폭 3-5cm, 두꺼운 가죽질이고 윤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5-7월에 피는데 길이 10-20cm의 꽃줄기 끝에서 이삭꽃차례로 빽빽하게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꽃차례는 길이 2-4cm이다. 수술은 6개, 수술대는 매우 짧다. 암술대는 매우 짧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장과로 둥글고 지름 8-10mm이며, 붉게 익는다. 드물게 노란색으로 익기도 한다. 10월부터 이듬해 3월에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제주도에 야생 상태로 자라는 엽란(Aspidistra elatior Blume)은 잎자루가 길며, 꽃은 꽃차례를 이루지 않고 꽃대 끝에서 1개씩 큰 꽃이 피므로 다르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5. 03. 07. 여주 황학산수목원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초(20250307)  (0) 2025.03.08
세복수초(20250307)  (0) 2025.03.08
새끼노루귀(20250307)  (0) 2025.03.08
동백나무 '알바 플레나' (20250307)  (0) 2025.03.08
백서향(20250307)  (0)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