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남미에서 만난식물

노랑지바뀌(20250305)

by 풀꽃나무광 2025. 3. 5.

노랑지빠뀌(20250305) | 영문명 Naumann's Thrush

No-rang-ji-ba-kkwi

Turdus naumanni Temminck, 1820 | 원기재명 Turdus naumanni Temminck, 1820 (노랑지빠귀)

 

 분류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Passeriformes (참새목) > Turdidae (지빠귀과) > Turdus (지빠귀속) > naumanni (노랑지빠귀)

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Temminck, 1820 

 

 분포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만주 남부, 한국 전역, 일본 서북부, 중국 북부, 타이완 등지에서 월동한다. | 평지 또는 산지 숲에서 서식한다. 농경지, 도시, 교외, 구릉, 산지 등 도처에서 눈에 띈다. 

 

 형태

참새목 지빠귀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23cm이다. 머리꼭대기 깃털은 갈색을 띤 잿빛이다. 뒷목과 등의 깃털은 대부분 붉은 살구색이나 엷은 갈색을 띤 잿빛의 깃 가장자리가 있기 때문에 붉은 살구색 부분은 그 밑에 있으므로 보이지 않는다. 귀깃은 잿빛 갈색이다. 배는 흰색이다.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으로 각 깃털의 기부는 녹슨 색이다. 홍채는 갈색이고, 다리는 엷은 갈색이다. 흔한 겨울철새이다.  수컷어깨깃, 등깃, 몸아랫면, 허리, 꼬리가 적갈색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색이 수컷보다 엷다. 검은색 턱선을 가지고 있고 멱과 가슴의 색이 밝다.

 

 생태

10월 초에 도래하여 4월 하순까지 체류하는 개체도 있다. 곤충 또는 식물의 종자나 열매를 먹는 잡식성이다. 곤충류 또는 식물의 종자나 열매를 먹는다. 

 

 동정 포인트

개체변이가 심하다. 개체에 따라서 개똥지빠귀와 유사한 경우도 있지만 적갈색 기운이 더 강하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여적

2025. 03. 05. 충장공원

'해외식물 > 중남미에서 만난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루 펠리컨(20131211)  (0) 2025.03.10
Cyanocorax chrysops(20131204)  (1) 2025.03.10
Cakile maritima subsp. euxina (20100328)  (0) 2025.02.26
Lamium maculatum (20120622)  (0) 2025.02.18
대황(20120622)  (0)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