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바랭이새(20241025) | 듬성이삭새
Na-do-ba-raeng-i-sae
Microstegium vimineum (Trin.) A. Camus, 1921. | Andropogon vimineus Trin., 1832.
○ 국명정보
나도바랭이새 : 정태현 <한국식물도감 (하권 초본부)>(1956)
○ 국명의 유래
"나도바랭이 + 새", 나도바랭이새라는 이름은 바랭이와 유사한 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화본과 > Microstegium 나도바랭이속
큰듬성이삭새, 나도바랭이새, 민바랭이새,애기나도바랭이새
○ 분포|자생지
말레이시아, 러시아, 인도, 일본, 중국 등 | 우리나라 전역의 숲속, 그늘진 습한 풀숲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40~100cm, 가늘고 약하며, 밑부분은 옆으로 눕고, 가지를 많이 친다. 줄기 한쪽 면에 깊은 홈이 있고, 윤기가 나며, 털은 없다.
잎 잎집은 마디 사이 길이보다 짧으며, 다소 모난 줄이 있고, 입구와 가장자리에만 털이 있다. 잎혀는 막질이며, 자른 모양이며, 길이 0.5mm, 겉에 잔털이 있다. 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5~10.0cm, 폭 5~15m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이며, 얇고, 양면에 부드럽고 연한 털이 있거나 없다.
꽃 8~9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1~6개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길이 3~6cm, 작은이삭이 성글게 붙는다. 작은이삭은 녹색이며, 자루가 있는 이삭은 양면이 납작하고, 자루가 없는 이삭은 앞면에 얕은 세로홈이 있다. 제1포영은 피침형으로 2~4맥, 제2포영은 3맥이다. .
열매 영과, 방추형으로 길이 2~3mm, 9월에 익으며, 세모가 진다
○ 동정 포인트
1. 큰듬성이삭새에 비해 제2소화의 화영에 까락이 없거나 아주 짧으며 까락이 있어도 소화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나도바랭이새 | 큰듬성이삭새 |
소수의 길이 5mm 화영에 까락이 없거나 있어도 소화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
소수의 길이 5-8mm 까락의 길이가 1.5cm 정도로 길다. |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조양훈 외 2 <벼과*사초과 생태 도감>
○ 여적
'한반도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aceae 벼과 > Microstegium 나도바랭이새속 정리 (0) | 2024.10.25 |
---|---|
겨풀(20241016) (1) | 2024.10.16 |
좀겨풀(20241010) (5) | 2024.10.11 |
큰듬성이삭새(20241005) (0) | 2024.10.05 |
겨풀(20241005) (4)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