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으아리(20240910)

by 풀꽃나무광 2024. 9. 12.

으아리(20240910) | 위령선(威靈仙)

Eu-a-ri

Clematis terniflora DC. var. mandshurica (Rupr.) Ohwi

 

○ 국명정보
으아리, 위령선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예로부터 으아리속 식물은 통증 제거나 종기의 부기를 가라앉히는 약재로 사용했다. 한편 으아리는 통증을 의미하는 아리다 또는 맺힌 덩어리를 의미하는 응어리와 음운상 유사하다. 따라서 으아리라는 이름은 그 약재가 독성으로 인해 아린 맛을 낸다는 뜻, 또는 응어리진 것을 제거하는 약성이 있다는 뜻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한불자전>에 종기 치료에 사용하는 연교(=개나리)를 '으아리'라고 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아리속(Clematis)

개버무리 / 검종덩굴 / 고려종덩굴 / 누른종덩굴 / 바위종덩굴 / 병조회풀 / 사위질빵 / 산종덩굴 / 세잎종덩굴 / 외대으아리 / 위령선 / 자주조희풀 / 자주종덩굴 / 좁은잎사위질빵 / 참으아리 / 큰꽃으아리 / 할미밀망 / 요강나물 / 으아리 / 종덩굴 / 큰위령선 / 국화으아리 / 만첩산종덩굴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전국 산과 들의 숲 가장자리, 길가에 자란다.

 

 형태
   낙엽성 덩굴나무  
   줄기  길이 2m 정도이며, 갈색이고,  단단하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어긋나며, 작은 잎 5~7장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난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 모양이다. 잎자루는 구부러져 덩굴손 역할을 한다.
     5-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흰색, 지름 2~4cm다. 꽃받침은 4~6장, 꽃잎처럼 보이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2~2.0cm다. 
   열매  수과이며, 난형으로 길이 4~6mm, 폭 2.5~4.0mm이고,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열매에 날개가 없다.  9-11월에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기본종인 참으아리에 비해서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꽃밥 끝은 뾰족하고, 열매는 작으므로 구분할 수 있다.

 

 활용
 위령선은 풍습을 제거하고 관절굴신불리, 사지마비, 요통, 사지동통, 근육마비, 타박상을 치료한다. 오장의 기능 항진, 경락이 막혀 생기는 통증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혈압강하, 평활근 흥분, 이뇨작용, 혈당하강작용, 진통,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 위령선에 얽힌 일화
  옛날 중국에 금슬 좋은 부부가 살았는데 남편이 바깥에서 돌기둥에 기대서 잠을 자다 중풍으로 사지마비가 되어 10년동안 드러눕게 되었다. 이때 어떤 의원이 부인에게 약초를 가르쳐 주며, "당신 남편은 풍과 습으로 인해서 온 중풍이니 내가 주는 약을 복용시키시오"하고는 산에 올라가 약초를 캐서 주었다. 부인은 잔뿌리를 잘라내고 물에 불렸다가 잘라서 막걸리와 버무려 달여 먹게 하고, 말렸다가 가루 내어 식초와 버무려 사지에 붙이게 하자 몇 개월 후에 남편은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완쾌되었다. 부인이 의원에게 약초의 이름을 물으니 아직 이름이 없다하여 즉석에서 이름을 지었는데, "약의 성질이 위엄있고 신선과 같이 영험하니 위령선이라 짓자"고 하였다.

2024. 09. 10. 무의도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의비름(20240714)  (0) 2024.09.14
애기나팔꽃(20240914)  (1) 2024.09.14
등골나물(20240910)  (0) 2024.09.12
애기쉽싸리(20240910)  (0) 2024.09.12
개수염(20240910)  (0) 202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