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류

진강도래?(20240607)

by 풀꽃나무광 2024. 6. 9.

진강도래?(20240607)

Jin-gang-do-rae
Oyamia nigribasis Banks, 1920 | 이명 Oyamia coreana Okamoto, 1921

우점생물지수(DSI)로 이용되는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다.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Plecoptera (강도래목) > Perlidae (강도래과) > Oyamia (진강도래속) > nigribasis (진강도래)

진강도래 Oyamia nigribasis Banks, 1920 

 

 분포

한국, 일본, 극동 러시아, 유럽 등지 |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강도래로서 깨끗한 중, 상류 하천에서 주로 바위 밑의 나뭇잎이 있는 곳에서 발견된다. 유충은 산간 계류나 비교적 폭이 넓은 하천의 깨끗한 물에서, 큰 자갈과 작은 자갈들이 고루 섞여 있는 하상 밑에서 Hand net, Kick net, 원형뜰채를 이용하여 채집하며, 성충이 되어서도 비행능력이 떨어져 큰 바위 위에서 볼 수 있다.

 

 개요

성숙한 유충은 몸길이 25~30mm 정도의 크기이고, 꼬리 길이는 몸길의 반정도이다. 머리와 가슴은 흑색이고 날개는 황갈색이며 몸은 전체적으로 진한 갈색을 띠고 있으며, 날개는 연한 갈색으로 투명하다. 다리도 갈색이며 대퇴마디의 중간 부위에는 검은색 무늬가 있다. 머리는 상대적으로 크고 홑눈은 3개를 갖고 있으며, 앞가슴 등판에는 가두리를 따라서 길거나 짧은 털이 분포한다. 우화시기는 수온에 따라 4월말에서 6월까지 이어지며, 우화적정 수온인 12~15℃이 되는 5월에 집중적으로 우화한다. 우화한 성충은 운동성이 매우 낮아 약 10~30m 정도의 비상력을 가지고 있으며, 낮에는 계곡 주변의 나뭇가지 또는 바위틈이나 잡목 등에 있다가 해질 무렵에 활발히 활동한다.

 

 동정 포인트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한국의곤충 (insects.or.kr)

 

 여적

2024. 06. 07. 유명산 농계

'곤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등우단털파리(20240609)  (0) 2024.06.09
푸른부전나비(20240609)  (0) 2024.06.09
날도래류(20240607)  (0) 2024.06.09
깍지벌레속?(20240607)  (0) 2024.06.08
장미색들명나방 애벌레(20240607)  (0)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