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류

붉나무혹응애(20240531)

by 풀꽃나무광 2024. 6. 4.

붉나무혹응애(20240531)

Buk-na-mu-hok-eung-ae
Aculops chinonei Huang  | 이명 Nurude Hushidani

 

 분류체계

절지동물문 > 곤충강 > 거미강응애목 > 혹응애과

붉나무혹응애 

 

 분포

한국, 일본 | 우리나라 전역에서 붉나무 잎의 뒷면에 기생하여 둥근 혹을 잎에 형성하여 그 내부에서 서식하며 가해한다.

 

 형태

암컷의 몸길이는 0.19mm로 방추형이며 몸은 황록색이다. 배갑은 삼각형에 가깝고 폭은 길이의 1.4배이다. 배모기점(背毛起點)의 반은 배갑후연(背甲後緣)에 있고 등의 털은 기점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몸의 끝부분의 환절수는 등쪽에서 31∼44개, 배쪽에서 68∼71개이다. 

 

 생태

연 수회 발생하며 피해를 주지만 상세한 생태는 조사되지 않았다.

 

 동정 포인트

 

 참고

산림청 산림청 - 분야별산림정보 > 국제산림협력 > 산림청소개 > 기관 안내 : 붉나무혹응애 (forest.go.kr)

오배자면충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여적

붉나무혹응애가 기생하는 붉나무, 루페를 꺼내 잎 뒷면 응애를 보려고 해 보았지만 잘 보이지 않는다. 그 크기가 다 자라야 길이  0.19mm라고 하니 아직 자라지 않는 유충은 더더욱 작은가 보다. 이들은 다 자라서 나중에 오배자 벌레집을 만든다.

 

-붉나무에 기생하는 진딧물류 성충과 유충

 

-오배자면충은 진딧물과 곤충이다.

2024. 05. 31. 봉대산

'곤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자팔랑나비(20240531)  (0) 2024.06.06
물빛긴꼬리부전나비(20240531)  (0) 2024.06.05
대벌레 유충(20240531)  (0) 2024.06.04
끝마디통통집게벌레(20240530)  (0) 2024.05.30
참콩풍뎅이(20240528)  (0)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