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류

말목껄껄이그물버섯(20231002)

by 풀꽃나무광 2023. 10. 4.

말목껄껄이그물버섯(20231002) |

Mal-mok-kkeol-kkeol-i-geu-mul-beo-seot

Leccinum subradicatum Hongo 1973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  https://cafe.naver.com/tttddd/1207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Boletales 그물버섯목 > Boletaceae 그물버섯과 > Leccinum 껄껄이그물버섯속

말목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subradicatum Hongo 1973
거친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scabrum (Bull.) Gray 1821
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aurantiacum (Bull.) Gray 1821
붉은갓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rugosiceps (Peck) Singer 1945
오렌지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versipelle (Fr. & Hök) Snell 1944
으뜸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holopus (Rostk.) Watling 1960
접시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extremiorientale (Lar. N. Vassiljeva) Singer 1962
참나무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quercinum (Pilát) E.E. Green & Watling 1969
한라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subglabripes (Peck) Singer 1945
회색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griseum (Quél.) Singer 1966

 

 분포

한국, 일본 | 여름 ~ 가을, 활엽수림 내의 땅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개요

버섯 갓 지름은 5~6.5cm,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 산 모양이 된다. 표면은 거의 백색이다가 연한 회갈색이 되며, 털이 없고 밋밋하다. 습할 시 끈적임이 있다. 살은 백색, 공기에 닿으면 자회색으로 변한다. 관공은 자루에 대하여 끝 붙은 관공. 처음에는 거의 백색이나 이후 황색-오황갈색이 된다. 구멍은 연한 색으로 소형이며, 상처 시 황갈색으로 변한다. 자루의 길이는 7~9cm, 굵기는 0.8~1.3cm이며 상하가 같은 굵기이나 간혹 아래로 가늘다. 기부는 구근상이다. 표면은 백색-유백색이며 세로줄의 선 또는 불분명한 그물꼴을 형성하거나 미세한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인편은 처음에는 백색이고 이후 회갈색 또는 암회색으로 변한다. 자루의 기부에는 때때로 녹청색의 얼룩이 있다. 포자는 크기 11.5~19×4~5μm, 류방추형이고 연한 황갈색이다. 연낭상체는 크기 25~36×7.5~10μm, 곤봉형 또는 방추형이다.

 

 활용

식독불명

 

 동정 포인트

-갓 표면은 흰색~연한 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해가고, 가장자리는 어릴 때 안쪽으로 약간 말려 있다. 
-자실층은 흰색에서 황색~탁한 황갈색으로 변해가고 자루에서 떨어져 붙은 모양이며, 구멍은 원형으로 작고 밀도는 촘촘하고, 상처시 황갈색으로 변한다.
-자루는 원기둥 모양, 표면은 흰색 바탕에 회갈색에서 짙은 회갈색으로 변해가는 알갱이 모양의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때로는 불분명한 그물눈 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한국야생버섯도감>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조덕현, <한국의 균류 5> 2020.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

 

 여적

2023. 10. 02. 서울 강남 대모산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색도장버섯(20231002)  (0) 2023.10.04
노란개암버섯(20231002)  (0) 2023.10.04
자주쓴맛그물버섯(임시명)(20230914)(?)  (0) 2023.10.04
점박이광대버섯(20230914)  (0) 2023.10.04
푸른주름무당버섯(20230914)  (0) 2023.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