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가는갯능쟁이(20230710)

by 풀꽃나무광 2023. 7. 12.

가는갯능쟁이(20230710) | 가는갯는쟁이

Ga-neun-gaet-neung-jaeng-i

Atriplex gmelinii C. A. Mey. 

 

 국명정보

가는갯는쟁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국명의 유래

"가는 + 갯는쟁이", 가는갯는쟁이라는 이름은 갯는쟁이를 닮았으나 잎이 상대적으로 더 가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분류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갯는쟁이속(Atriplex※APGIII분류체계; 비름과(Amaranthaceae)>명아주아과(Chenopodioideae)>갯능쟁이속(Atriplex)  

  가는갯능쟁이 / 갯능쟁이 / 창갯능쟁이

 

 분포|자생지
 
  러시아(캄차카), 일본, 한국; 북아메리카 | 경기, 충남, 전라, 경상, 제주의 염전 또는 해안가 주변에 자란다.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30-70cm쯤, 곧추서고 가지는 위로 향한다.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길이 3-10cm, 폭 5-15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두껍다. 
     7-8월에 피는데 수상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녹색을 띤다. 수술은 4-5개이다. 
   열매  포과이며, 종자는 지름 2mm, 흑색이다.

 

 동정 포인트
  
 1. 갯는쟁이(A. subcordata Kitag.)에 비해 잎이 좁고 열매를 맺을 때 암꽃의 포엽이 커지며, 종자는 흑색으로 광택이 있어 구분된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3. 07. 10. 전남 신안 자은 신안자연휴양림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기등(20230709)  (0) 2023.07.12
수송나물(20230710)  (0) 2023.07.12
모래지치(20230710)  (0) 2023.07.12
버들마편초(20200710)  (0) 2023.07.12
미국자리공(20230710)  (0) 202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