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갈매기(1) |
Gwaeng-i-gal-mae-gi
Larus crassirostris Vieillot, 1818
○ 분류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Charadriiformes 도요목 > Laridae 갈매기과 > Larus 갈매기속
갈매기 Larus canus Linnaeus, 1758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Swinhoe, 1871)
고대갈매기 Larus relictus Lönnberg, 1931
긴목갈매기 Larus genei Breme, 1839
꼬마갈매기 Larus minutus Pallas, 1776
노랑발갈매기 Larus cachinnans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 Linnaeus, 1766
수리갈매기 Larus glaucescens Naumann, 1840
옅은재갈매기 Larus smithsonianus Coues, 1862
작은흰갈매기 Larus glaucoides B.Meyer, 1822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Pontoppidan, 1763
줄무늬노랑발갈매기 Larus fuscus heuglini
줄무늬노랑발갈매기 Larus heuglini Bree, 1876
큰검은머리갈매기 Larus ichthyaetus Pallas, 1773
큰재갈매기 Larus schistisagus Stejneger, 1884
한국재갈매기 Larus cachinans Pallas, 1811
흰갈매기 Larus hyperboreus Gunnerus, 1767
○ 분포
극동 러시아 남쪽 해안, 일본, 중국 | 전국 해안, 도서지역, 하구에 서식한다.
○ 형태
몸길이 44~48cm, 부리 길이 4.4∼5.6cm, 날개 길이 35∼239cm, 꼬리 길이 12∼315cm, 부척 길이 5.1∼6.2cm이고, 몸무게는 수컷 492∼2,660g, 암컷 406∼6,483g 정도이다. 암컷과 수컷은 같은 색깔이다. 여름 깃은 머리, 몸 아랫부분, 허리가 흰색이며, 날개 윗부분은 짙은 회색이고, 꼬리 끝부분은 검은색 띠가 있다. 부리는 노란색으로 아랫부리와 윗부리의 끝부분에 붉은색과 검은색 띠가 있으며, 다리는 노란색이다. 겨울 깃은 머리와 목 뒷부분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
○ 생태
도서지방의 암초, 초지 또는 관목이 있는 지역에서 집단번식을 한다. 알을 낳기 전에 세력권 내에서 수컷이 암컷에게 먹이를 주는 행동이 관찰된다. 4-6월에 2~3개의 알을 낳고, 암수가 교대로 품는다. 번식기에는 도서지방에서 번식하면서 바다에서 먹이를 구하고, 비번식기에는 내륙의 해안, 하구, 호수 등에서 먹이를 찾는다. 주로 어류를 먹지만, 양서류, 연체동물, 곤충류도 먹는다.
○ 동정 포인트
갈매기과는 납막이 없으며, 윗부리의 끝부분은 아래로 구부러져 있다. 다리는 거의 몸의 중앙에 붙어 있으며, 앞발가락에는 완전한 물갈퀴가 있다.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여적
백령도에서는 괭이갈매기가 논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장면이 많이 눈에 띈다. 농약을 많이 하지 않아 쉽게 먹이를 구할 수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괭이갈매기가 참 영리하다. 사람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뢰지대 백사장 근처에 서식처를 잡았다. 이곳에는 사람들이 접근하지 못한다. 수천 마리 괭이갈매기 떼들이 둥지를 틀고 알을 낳고 새끼를 깠다. 사진을 찍으려고 가까이 가도 끔적도 하지 않고 나를 쳐다본다. 나와 갈매기 사이에는 철조망 펜스가 가로막고 있다. 병아리와는 달리 어미 갈매기의 보살핌을 받고 있는 새끼 갈매기는 별 볼품이 없다. 병아리는 귀여운데 새끼 갈매기는 잿빛 털복숭이로 귀엽다는 생각을 자아내지 않는다. |
'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박구리(20230822) (1) | 2023.08.22 |
---|---|
큰부리까마귀(20230808) (2) | 2023.08.13 |
되지빠귀(2) (2) | 2023.06.12 |
되지빠귀(1) (1) | 2023.05.29 |
오색딱다구리(1) (4) | 2023.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