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풀 | 다른국명
Jang-gun-pul
Rheum coreanum Nakai | 다른학명
한반도 고유종
○ 국명정보
장군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장군풀" 이라는 이름은 중국의 본초명 대황에 대한 별칭 장군(將軍) 또는 장군초(將軍草)에서 유래했다.
동의보감에서는 '쟝군플'을 기록했는데 약효가 장군이 지휘하고 통솔하듯이 어혈이나 중독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는 뜻에서 장군풀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Polygonales 마디풀목 > Polygonaceae 마디풀과 > Rheum 대황속
대황 Rheum rhabarbarum L.
장군풀 Rheum coreanum Nakai
○ 분포 | 자생지
| 함경남도 차일봉, 구태산, 함경북도 백두산, 관모봉 등 해발고도 2,000m 이상의 고산지대 눅눅한 풀밭과 산골짝 계곡 주변의 돌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뿌리 굵기 15cm, 길이 1m까지 비대해진다.
줄기 높이는 2m 정도, 곧추서는데 속이 비어 있고 세로로 줄이 있다.
잎 모여나는 뿌리잎과 어긋나는 2개의 줄기잎으로 구성된다. 뿌리잎의 잎몸은 둥근 심장형으로 길이와 폭은 약 1m이고, 손바닥 모양의 5~7개의 결각으로 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큰 톱니가 있다.
꽃 6~8월경에 황백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려 전체적으로는 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 축은 붉은빛이 돌며 작은꽃자루의 중간 아래쪽에 관절이 있다. 꽃받침은 6개로 2줄로 배열하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 삼각상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날개로 되며, 숙존성 꽃받침에 싸여 있다.
○ 활용
뿌리는 약용한다.
○ 동정 포인트
1. 장군풀은 잎몸이 둥근 심장형으로 손바닥 모양, 5~7개의 결각으로 갈리는 점에서 잎몸이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결각으로 갈리지 않는 대황과 구별된다.
○ 참고
※북한에서는 남포태산의 장군풀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