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

낚시귀리(1)

by 풀꽃나무광 2022. 9. 14.

낚시귀리(1) | 그늘납작귀리, 라티폴리움카스만티움, 영명 woodoats, inland sea oats, northern sea oats, and river oats, North america wild oats, Spangle grass, Seaoats

Nak-si-sa-cho

Chasmanthium latifolium (Michx.) H.O.Yates | 다른학명

외래식물

※처음 Bromus briziformis Bromus Briziformis Fisch. et Mey(낚시귀리)으로 잘못 동정하여 바로잡음

 

 국명정보

낚시귀리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국명의 유래

"낚시 + 귀리", 낚시귀리라는 이름은 화서가 낚싯대처럼 드리워져 있고 열매가 귀리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분류

벼과(Poaceae) 카스만티움속(Chasmanthium)

낚시귀리

 

 분포 | 자생지
미국 중부 및 동부, 매니토바 및 멕시코 북동부 | 전국의 식물원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60~90cm 정도 자란다.
잎  어긋나고 밝은 녹색이며 줄무늬 창 모양이고 길이는 12-20cm 정도이다. 대나무 잎을 닮았고, 가을에 색이 짙어져 겨울에는 갈색을 띤다.
 6-9월에 길이 2.5-5cm 정도의 귀리를 닮은 이삭모양의 녹색 꽃이 핀다.
열매  줄기 끝에 평평한 귀리 모양으로 달린다. 익으면 녹색이 자줏빛으로 변한다.

 

 동정 포인트

Chasmanthium latifolium (낚시귀리) Bromus briziformis(브로무스 브리지포르미스)
화축 절간마다 소수가 2개씩 달리는 원추화서 맨 아래쪽엔 소수가 여러 개 달리고 위로 적어지는 원추화서

 

 참고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nature.go.kr/kpni/stndasrch/dtl/selectNtnStndaPlantDtl2.do?orgId=kpni

 

 여적

 꽃동무 운정이 단톡방에 올림픽공원에서 만난 것인데 무슨 사초냐고 사진을 올렸다. 보자마자 2015. 11. 06. 아차산생태공원에서 만나 처음 보는 것이라 채집까지 해와서 동정했던 기억이 난다. 도감을 찾아보니 채집 표본까지 끼워져 있다. 미기록 벼과 Bromus briziformis이라고 일러 주었다. 
 저녁 때 대효과 낚시귀리라고 요즘 공원에 많이 식재한다고 올라왔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낚시귀리를 검색해 보니 정말 등재되어 있다. 그럼 내가 잘못 동정했나 싶어서 다시 일본 벼과도감을 찾아보니 내가 오동정했다는 것을 알았다. 소수의 모양은 거의 같은데 자세히 보니 화서가 다르다. Bromus Brizaeformis는 귀리속인데 맨 아래에는 여러 개의 소수가 달리는 원추화서다.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달리는 소수가 적어진다. 그러나 낚시귀리는 절간마다 거의 2개의 소수가 달리는 원추화서로 보인다. 내가 오동정한 것을 대효가 바로잡았다. 보는 시야가 넓고 현장에서 만나는 식물도 넓게, 깊게 알고 있다.
 그런데 어디서 찾았는지 운정이 다음과 같은 이미지를 단톡방에 올렸다. 부천 무릉도원수목원이란 이름이 부끄럽다.
학명은 제대로 되었는데 분류를 사초과로 해 놓고 국명을 낚시귀리사초라고 하였다. "낚시귀리"란 국명을 "낚시귀리사초"라고 잘못 명명하니 벼과식물이 졸지에 사초과로 변했다. 벼과와 사초과도 제대로 모르는 사람이 이 팻말을 만들었을 터, 누구를 탓하리요.


 2015.11.06. 식물을 좋아하는 벗들과 아차산 생태공원을 둘러보고 아차산, 용마산 산행을 하기로 했다. 대효는 아직 이 쪽의 생태공원은 둘러보지 않았나 보다. 개서어나무 열매가 잎보다 더 많이 달려 있어 온통 열매 투성이다. 층꽃나무가 보기 좋게 피어 있는 곳에서 처음 보는 벼과식물을 만났다. 일부러 심은 것 같지는 않고 처음 공원 조성할 때 다른 종과 함께 묻어 왔는지 모르겠다. 사진을 찍는데 바람이 드세서 어렵다. 할 수 없이 하나를 잘라서 바닥에 놓고 찍었다. 집에 와서 국립수목원에서 나온 벼과도감을 일일이 넘기면서 찾아봐도 나와 있지 않다. 일본 도감 長田武正 을 찾아 보았더니 Bromus 속에서 같은 것을 찾았다. 학명이</illustrated > Bromus Brizaeformis Fisch. et Mey. 로 나와서 그리 알고 도감을 보고 대충 정리하였다. 그런데 대효한테서 전화가 왔다. 학명이 잘못 되었다고. The Plant List 에서 검색해 보니 동일한 학명으로는 나오지 않는다. Bromus Briziformis Fisch. et Mey.의 잘못임을 확인하였다. 보다 폭 넓게, 깊이 있게 고찰하는 데는 역시 탁월하다. 분류학을 전공했으면 크게 빛을 보았을 것이다.

 

2022. 09. 13. 서울 강서 서울식물원

'한반도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쇠보리(1)  (0) 2022.09.15
참억새'펑크첸'  (0) 2022.09.14
진퍼리새(2)  (0) 2022.09.09
기름새(2)  (0) 2022.08.31
나도겨풀(2)  (0) 202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