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집구멍장이버섯(1) | 북한명 : 벌집버섯
Beol-jip-gu-meong-jang-i--beo-seot
Neofavolus alveolaris (DC.) Sotome & T.Hatt. (2013) | Polyporus alveolarius
※이 종은 2016년 종전의 구멍장이버섯속(Polyporus)에서 새벌집버섯속(Neofavolus)으로 바뀌었다. 속명이 바뀌면 국명도 바뀌어야 하지만 국명이 새로 붙여질 때까지 기존에 사용하던 국명 벌집구멍장이벗을 그대로 씀.
○ 분류
담자균문 > 주름버섯강 > 구멍장이버섯목 > 구멍장이버섯과 > 구멍장이버섯속
검은발구멍장이버섯 Polyporus melanopus (Pers.) Fr. 1821
검정대구멍장이버섯 Polyporus badius (Pers.) Schwein. 1832
검정발구멍장이버섯아재비 Polyporus koreanus H. Lee, N.K. Kim & Y.W. Lim 2017
겨울구멍장이버섯 Polyporus brumalis (Pers.) Fr. 1818
구멍장이버섯 Polyporus tuberaster (Jacq. ex Pers.) Fr. 1815
노란대구멍장이버섯 Polyporus varius (Pers.) Fr. 1821
대그물구멍장이버섯 Polyporus subdictyopus H. Lee, N.K. Kim & Y.W. Lim 2017
동양노란대구멍장이버섯 Polyporus orientivarius H. Lee, N.K. Kim & Y.W. Lim 2017
벌집구멍장이버섯 Neofavolus alveolaris (DC.) Sotome & T. Hatt. / Polyporus alveolarius
소담자구멍장이버섯 Polyporus brevibasidiosus H. Lee, N.K. Kim & Y.W. Lim 2017
울릉구멍장이버섯 Polyporus ulleungus H. Lee, N.K. Kim & Y.W. Lim 2017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 Polyporus parvovarius H. Lee, N.K. Kim & Y.W. Lim 2017
저령 Polyporus umbellatus (Pers.) Fr. 1821
좀벌집구멍장이버섯 Polyporus arcularius (Batsch) Fr. 1821
침엽수구멍버섯 Polyporus tsugae (Murrill) Overh. 1915
털구멍장이버섯 Polyporus squamosus (Huds.) Fr. 1821
황갈색구멍장이버섯 Polyporus grammocephalus Berk. 1842
○ 분포
| 1년 내내 활엽수의 죽은 가지 또는 살아 있는 뽕나무에 무리지어 나며 부생생활로 목재를 썩힌다.
○ 개요
버섯갓의 가로는 2~6cm, 세로는 1~4cm이며 두께는 0.2~0.5cm이다. 반원형의 콩팥 모양이며 표면은 편평하다. 황갈색이고 편평한 미세한 인편이 있으며 털은 없다. 살은 백색의 가죽질이다. 관공은 길이가 0.1~0.3cm이고, 구멍은 방사상으로 긴 벌집 모양이며 지름은 0.1~0.2cm이다. 균모와 같은 색이다. 균모는 기주에 옆으로 붙어 있고 자루는 짧거나 없다.
포자 : 크기는 7~12×3~4μm이고 긴 타원형이다. 목재부후균으로 백색 부후를 일으켜 목재를 분해하여 자연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 활용
버섯이 질기기 때문에 식용으로는 부적절하다. 항종양, 항진균 작용이 있다.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한국야생버섯도감>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 여적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꼬리버섯(1) (0) | 2022.09.02 |
---|---|
젖비단그물버섯(11) (0) | 2022.09.02 |
과천 청계산에서 만난 버섯들 (0) | 2022.09.02 |
밀꽃애기버섯() (0) | 2022.09.02 |
조각무당버섯(2)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