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

갯겨이삭

by 풀꽃나무광 2022. 6. 12.

갯겨이삭 | 고려꾸렘이풀, 남꾸레미풀, 참겨이삭

Gaet-gyeo-i-sak

Puccinellia coreensis Hack. ex Honda | 다른학명

한반도고유종

 

 국명정보

갯겨이삭 : 이창복 : <우리나라 식물자원>(1969)

 

 국명의 유래

"갯 + 겨이삭", 갯겨이삭이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 자라는 겨이삭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겨이삭이라는 이름은 꽃차례가 이삭모양으로 피고 포영이 남아 있는 모양이 쌀겨를 뿌린 것 같이 보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Puccinellia 각시미꾸리광이속

갯겨이삭 Puccinellia coreensis Hack. ex Honda 
각시미꾸리광이 Puccinellia chinampoensis Ohwi
갯꾸러미풀 Puccinellia nipponica Ohwi
처진미꾸리광이 Puccinellia distancs (Jacq.) Parl.
천도미꾸리광이 Puccinellia pumila (Vasey) Hitchc.

 

 분포 | 자생지
한국 | 경기도, 전라남도, 제주도의 바닷가 습지나 풀밭에 자란다.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30~40cm이며, 모여나고 곧게 선다. 
잎  어긋나고 좁은 선형으로 편평하고 분녹색이며 끝은 뾰족하다. 잎혀는 투명한 막질이다. 
 6월에 피는데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중축과 작은이삭자루는 밋밋하나 윗부분의 능선에 잔 돌기가 있으며 5~7개로 된 연한 녹색인 작은이삭이 달린다. 제1호영은 1맥이고 끝이 뾰족하며 제2호영은 3맥이고 난상 피침형이다. 외영은 막질이며 장타원상 피침형이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2개의 능선이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의 길이는 1mm다.
열매  영과,과피에 싸여 있고 꼭지는 점형이다.

 

 동정 포인트

1. 이 종은 갯꾸러미풀에 비해 꽃차례의 중축과 소축이 평활하고 꽃밥이 길므로 구별된다.

2. 이 종은 각시미꾸리광이에 비하여 화서가 엽초에 싸여서 개화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2. 05. 16. 제주도 김녕

 

'한반도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조풀(1)  (0) 2022.06.18
갯그령(3)  (0) 2022.06.18
나도겨이삭(2)  (0) 2022.06.09
큰참새피(1)  (0) 2022.06.04
메귀리(1)  (0) 202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