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세바람꽃(3)

by 풀꽃나무광 2022. 4. 26.

세바람꽃(3) | 세송이바람꽃(북한명)

Se-ba-ram-kkot

Anemone stolonifera Maxim.

 

○ 국명정보
세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세 + 바람꽃",  세바람꽃이라는 이름은 꽃대가 3개씩 올라오는 바람꽃이라는 뜻이다. 식물의 형태적 특징에 착안해 신칭한 것이지만 실제로 반드시 3개가 아니라 2-3개의 꽃대가 올라온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nemone 바람꽃속

 들바람꽃 / 가래바람꽃 / 바이칼바람꽃 / 대상화 / 홀아비바람꽃 / 바람꽃 / 외대바람꽃 / 국화바람꽃 / 꿩의바람꽃 / 회리바람꽃 / 쌍동바람꽃 / 세바람꽃 / 숲바람꽃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대만, 한국 | 함남북, 제주 한라산 등의 산지에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
풀  
   줄기  높이 15~30㎝이며 근경은 굵고 짧으며 때로는 지하경이 옆으로 자란다. 엽병 기부에 고사한 자루의 섬유가 남아 있다. 
     뿌리잎은 자루가 길고 3출엽이며 소엽은 2~3개로 깊이 째지거나 완전히 갈라지고 결각상 톱니가 있다. 총포엽은 3개이며 엽병이 짧고 3개로 깊이 갈라진다.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며 2~3개의 꽃대가 나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대는 2~9㎝로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받침 조각은 5개로 타원형이다. 

   열매  수과, 넓은 난형으로 잔털이 있다. 

 

 동정 포인트 
  
이 종은 국화바람꽃, 외대바람꽃, 꿩의바람꽃에 비해    1) 때로 지하경이 있다.  2) 엽병 기부에 섬유가 있다. 3) 근생엽은 여러 개이다. 4) 꽃대는 2~3개이다. 5) 꽃은 소형이다.

 

 참고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2. 04. 24. 제주도 한라산 1100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실잣밤나무(2)  (0) 2022.04.26
솜쑥방망이  (0) 2022.04.26
산벚나무(1)  (0) 2022.04.26
곰취(5)  (0) 2022.04.26
멀꿀(4)  (0)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