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돌잔고사리 | 기슭고사리, 털돌잔고사리
Git-dol-jan-go-sa-ri
Microlepia marginata var. bipinnata Makino
○ 국명정보
깃돌잔고사리 :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국명
"깃 + 돌잔고사리", 깃돌잔고사리라는 이름은 돌잔고사리와 유사하나 우편이 깃처럼 깊게 갈라진 특징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고사리과(Pteridaceae) 돌잔고사리속(Microlepia)
돌잔고사리 / 깃돌잔고사리 / 돌토끼고사리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타이완, 베트남, 네팔, 인도 북부, 파푸아뉴기니아 등 | 제주도 산지의 건조한 기슭에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키 50-80cm이다.
뿌리줄기 갈색 털이 밀집해 있다.
잎자루 길이 30-50cm이고 털이 있다.
잎몸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초질이고 표면, 뒷면 전체에 털이 있다.
우편 피침형이고, 길이 15-20cm이며, 우축에 날개가 있고, 짧은 자루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있다.
소우편 맨 아래 소우편은 짧은 자루가 있고, 비대칭 긴타원형으로 끝이 약간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 열편 가장자리에 붙는다.
포막 컵모양이고, 길이 0.7-1.5mm이고 다세포성 털이 많다.
○ 동정 포인트
1. 돌잔고사리와 유사하나 우편이 깊게 갈라져 돌잔고사리의 변종으로 보기도 한다. 돌잔고사리와 돌토끼고사리의 교잡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 차후 세밀한 연구가 필요한다.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립수목원 <한국식물 도해도감 2. 양치식물>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