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잎할미꽃(2) | 가는할미꽃, 일본할미꽃
Ga-neun-ip-hal-mi-kkot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 J.Presl | 이명 Pulsatilla cernua (Thunb.) Spreng.
○ 국명정보
가는잎할미꽃 : 박만규 <우리나라식물명감>(1949)
가는할미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가는잎 + 할미꽃", 가는잎할미꽃이라는 이름은 뿌리잎이 2-5갈래로 잘게 갈라져서 할미꽃의 잎에 비해 가는 할미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가는할미꽃으로 신칭했으나 <우리나라식물명감>에서 가는잎할미꽃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뿌리나기잎이 2-5개로 잘게 갈라져서 가는잎을 취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할미꽃속(Pulsatilla)
가는잎할미꽃 / 중국할미꽃 / 분홍할미꽃 / 할미꽃 / 노랑할미꽃 / 산할미꽃 / 동강할미꽃 / 긴동강할미꽃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극동), 일본, 한국 | 제주도의 햇볕이 잘 드는 산과 들의 풀밭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굵고 깊게 들어간다.
줄기 높이 10~30cm다. 부드러운 흰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 뿌리에서 여러 개가 나오며, 잎자루는 길이 4~14cm다. 잎몸은 2번 깃꼴로 갈라진 겹잎, 길이 3~8cm, 폭 4.5~6.5cm다.
꽃 3-4월에 꽃줄기 끝에 1개씩 피며, 종 모양, 검붉은 자주색, 밑을 향해 달린다. 총포는 꽃줄기를 감싸며, 3~4갈래로 갈라지고, 다시 선형으로 갈라진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6개, 긴 타원형, 길이 2~3cm, 겉에 흰 털이 빽빽하게 나고, 안쪽은 검은 자주색을 띤다.
열매 수과, 좁은 난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암술대가 깃 모양으로 남아 있다.
○ 동정 포인트
1. 할미꽃에 비해 꽃받침잎 길이가 조금 짧고, 꽃 색깔이 조금 어둡다. --------------------------가는잎할미꽃
2. 꽃에 비해 꽃받침잎 길이가 조금 길고, 꽃은 밝은색이며, 잎몸의 마지막 갈래가 조금 더 넓다.----------할미꽃
3. 북부지방에 분포하며, 꽃받침잎의 길이가 짧고 연분홍색이다. --------------------------------분홍할미꽃
가는잎할미꽃 | 할미꽃 | |
분포지 | 제주도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잎 모양 | 밑부분의 소엽이 2-5개로 갈라진다. | 밑부분의 소엽이 2-3개로 갈라진다. |
화경 꽃받침잎, 색깔 |
화경의 높이가 10-30cm이다. 할미꽃에 비해 짧다. 어두운 자주색이다. |
화경의 높이가 30-40cm이다. 가는잎할미꽃에 비해 꽃받침잎이 길고 밝은 자수색이다. |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7392&show_all_tab=Y&show_cls_nm_gbn=kr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
▩ 제주도에 자생하는 가는잎할미꽃과 육지에 자라는 할미꽃은 어떻게 다를까? 가는잎 할미꽃의 정체가 궁금하다. 꽃은 보지 못하고 열매만 보게 되어 아쉽다. 한반도생물자원에서는 할미꽃에 비해 꽃받침이 보다 짧고 짙은 색이라고 한다. 여왕벌이 사는 집(http://blog.daum.net/qweenbee/8895290)에 올라와 있는 제주도산 가는잎할미꽃은 뭍에 나는 것과는 보다 꽃받침잎이 보라색에 가까울 정도로 보다 짙은 붉은색이다. 근생엽의 갈라지는 회수로 구별하기도 한다지만 뚜렷한 근거로 내세우기 곤란하다. ▩ 할미꽃은 꽃이 필 때 왜 아래로 숙이고 있을까? 꽃이 피기 시작할 때 화경이 구부러져 꽃이 아래로 숙이고 있다가 개화가 시작된 후 약 6-10일 지나면 직립한다. 2002년 중국, 일본, 이스라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 현상은 수분 매개자의 특성이나 자가수분을 방지하려는 이유보다는 꽃가루가 수분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 생긴 적응 현상임이 밝혀졌다. 즉, 개화기에 화경이 구부러짐으로써 꽃받침이 아래로 향하게 되어 꽃받침이 우산처럼 꽃가루를 비에 젖지 않게 보호해 주어 꽃가루 생존 능력을 유지하게 한다는 것이다 한반도생물자원포털(Huang et al. 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