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껍질버섯(20201018) | 재껍질버섯
Keun-kkeop-jil-beo-seot
Lopharia cinerascens (Schwein.) G. Cunn. 1956
○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Polyporales 구멍장이버섯목 > Polyporaceae 구멍장이버섯과 > Lopharia 껍질버섯속
큰껍질버섯 Lopharia cinerascens (Schwein.) G. Cunn. 1956
○ 분포
한국, 일본, 유럽 | 봄~가을, 활엽수 아까시나무의 가지 또는 낙지에 난다.
○ 개요
자실체는 배착생-반배착생. 어릴 때는 배착생으로 흔히 수피가 벗겨진 아까시나무 표면에 수~수십 센티미터 크기로 퍼진다. 자실층 면은 둔한 침상 또는 얕은 이빨 모양, 회백색-연한 자갈색이다. 주변부는 백색이나 후에 얕게 반전된 반원형-선반 모양의 균모가 형성된다. 표면은 회백색-백갈색, 밀모가 덮여 있고 테 무늬가 있다. 포자는 10.5~13.5×5~7μm, 난형-타원형, 표면이 매끈하고 투명하다. 난아미로이드 반응을 보인다.
○ 활용
식독불명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한국야생버섯도감>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