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류

눈물버섯

by 풀꽃나무광 2021. 11. 6.

눈물버섯

Nun-mul-beo-seot

Psathyrella corrugis (Pers.) Konrad & Maubl. | 이명 P. gracilis (Fr.) Quél. / P. caudata (Fr.) Quél.

※가랑잎꽃애기버섯=>눈물버섯 정정

 

 분류

담자균문 > 주름버섯강 > 주름버섯목 > 눈물버섯과 > 눈물버섯속 

우리나라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에 현재까지 16종이 분포한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유럽 | 여름~가을, 숲속의 낙엽 사이나 떨어진 나뭇가지에 군생한다.

 

 개요

갓의 지름은 1~3.5cm로 원추형-종 모양에서 둔한 산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무디고 미세한 방사상의 주름이 있으며 흡수성을 가진다. 습할 때는 투명한 줄무늬선이 거의 중간까지 발달하며 대추 야자색에서 황토 갈색으로 되지만 적색 또는 회색기가 있으며 건조하면 크림색이다. 가장자리는 핑크색이며 백색이고 표피의 섬유실이 부착한다. 오래되면 물결형으로 예리하게 된다. 살은 크림색에서 회갈색이며 얇고 냄새는 좋지 않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넓은 바른 주름살로 크림 베이지색에서 회색을 거쳐 자갈색으로 되며 폭은 넓다. 언저리는 백색의 섬모실이다. 자루의 길이는 5~15cm, 굵기는 0.1~0.35cm로 원통형이며 부서지기 쉽고 속은 비었다. 매끈하고 광택이 나며 백색에서 연한 크림색으로 꼭대기는 백색의 가루상이다. 기부는 백색의 섬유실이 있고 뿌리형이다. 포자는 10.5~14×6~7.5μm로 타원형이고 매끈하며 검은 회갈색으로 발아공이 있다. 담자기는 25~35×10~13μm로 곤봉형이며 4-포자성으로 기부에 꺾쇠가 있다.

 

 활용

식*독 불명확함

 

 동정 포인트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여적

 

2021. 11. 03. 경기 구리 동구릉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흰목이(1)  (0) 2021.11.06
금빛소나무비늘버섯(2)  (0) 2021.11.06
말불버섯(7)  (0) 2021.11.06
밀꽃애기버섯  (0) 2021.11.06
등갈색미로버섯(14)  (0) 202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