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

나도딸기광이

by 풀꽃나무광 2021. 8. 19.

나도딸기광이 | 이삭조, 이삭새(북한명), Drooping woodreed

Na-do-ttal-gi-gwang-i

Cinna latifolia (Trevir. ex Göpp.) Griseb., 1852. | 학명이명 Agrostis latifolia Trevir. ex Göpp., 1830.

 

 국명정보

나도딸기광이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이삭조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국명의 유래

"나도 + 딸기광이", 나도딸기광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Cinna 나도딸기광이속
나도딸기광이 Cinna latifolia (Trevir. ex Göpp.) Griseb., 1852. 

 

 분포 | 자생지
한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중국 및 북아메리카, 유럽 등 | 중부 이북 고산지대 깊은 산 임도 주변 축축한 곳에 자란다.

 

 줄기는  꽃은 우리나라 에 나며, 에 분포한다. 귀리족 식물 내에서는 작은이삭 안에 임성 소화가 하나만 들어 있고, 포영에 까락이 없으며, 꽃차례가 원추형인 점 등으로 구분된다.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하나만 나오거나 여러 대가 성기게 모여나고, 높이 60~160cm이며, 마디가 4~9개 있다. 
잎 잎집은 거칠다. 잎몸은 길이 15~25cm, 너비 10~20mm이며, 가장자리는 거칠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2~4mm이다.
 7~8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원추형으로 긴 가지가 돌려난다. 전체 꽃차례의 길이는 30~46cm이다. 작은이삭은 타원형으로 길이 2.5~4.0mm이고, 꽃이 한 개 들어 있다. 두 포영은 길이와 모양이 비슷하고 2.5~4.0mm이다. 호영은 난형으로 길이 1.8~3.4mm이며 윗부분에 까락이 달린다. 내영은 1.8~3.4mm로 한두 개의 맥이 있다. 
열매 영과, 장타원형이고 1.8-2.2mm이다.

 

 동정 포인트

1. 이 종은 화서가 심하게 늘어지는 점이 특징이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1. 07. 13. 경기 가평 화악산

'한반도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1)  (0) 2021.08.21
왕쌀새(2)  (0) 2021.08.19
개밀(2)  (0) 2021.08.18
구주개밀(3)  (0) 2021.08.18
바랭이(1)  (0) 2021.07.26